이란전 승부차기 '이운재 선방'…아시안컵 4강 진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47년만에 아시아 축구 정상에 도전하는 한국이 난적 이란을 극적으로 물리치고 아시안컵축구 4강에 진출했다.
수문장 이운재는 2002년 한일월드컵 8강전을 연상케 하는 신들린 선방으로 베어벡호의 4강행을 이끌었다.
핌 베어벡 감독이 이끄는 축구대표팀은 22일 오후(한국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8강전에서 전·후반과 연장 120분 혈투를 득점없이 비긴 채로 마친 뒤 이란전 승부차기에서 이운재의 빛나는 선방에 힘입어 4-2으로 이겨 준결승에 올랐다.
한국은 25일 오후 7시20분 같은 장소에서 이라크와 결승 진출을 다툰다.
한국은 1996년 아시안컵 8강에서 이란에 당한 2-6 참패와 2004년 중국 대회에서 3-4로 진 빚을 깨끗이 되갚았다.
조별리그에서 치욕의 탈락 위기를 맞으며 극도로 부진한 성적을 올렸던 베어벡호는 지난달 29일 평가전에서 3-0으로 이긴 적이 있는 이라크를 4강 상대로 맞게 돼 충분히 결승 진출을 바라볼 수 있다.
한편 이날 보슬비가 멈추지 않고 내리던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은 한국과 이란의 응원전으로 뜨거운 열기를 뿜어냈다.
양 팀 응원단은 경기시작 두 시간 전부터 삼삼오오 모여들어 응원전을 준비했다.
교민회를 중심으로 경기장에 모인 한국 응원단은 무려 5000여명.일요일 오후를 맞아 저마다 붉은색 티셔츠를 갈아입고 오랜 만에 쿠알라룸푸르를 찾은 태극전사들의 모습을 보기 위해 경기장에 집합했다.
이란 응원단 역시 만만치 않았다.
당초 소규모 응원단이 예상됐지만 ‘IRAN’이라고 쓰인 흰색 티셔츠까지 맞춰 입은 3000여명의 응원단이 전통 악기와 박수에 맞춰 경기 내내 ‘이~란’을 연호했다.
이미 말레이시아 대표팀이 조별리그에서 꼴찌로 탈락해 아시안컵 분위기가 가라앉은 상태라 10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경기장에 양쪽 응원단을 합쳐 겨우 1만여명만 모였지만 응원 함성은 ‘만원 관중’ 못지 않게 터져 나왔다.
90분의 치열한 장내 혈전이 무득점으로 마무리되고 연장으로 접어들면서 응원단의 열기도 주춤하는 듯 했지만 연장전에 접어들자 ‘붉은 응원단’은 아예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막대풍선을 두드리며 지쳐가는 태극전사에게 용기를 북돋워 주었다.
특히 연장 전반 15분께 오범석이 다리에 쥐가 나 넘어지자 곁에 있던 이란의 페리둔 잔디가 발목을 잡아주는 상황에서는 양쪽 응원단 모두에서 격려의 박수가 넘쳐나왔다.
속절없이 120분이 흐르고 운명의 승부차기 순간이 찾아오자 관중석은 ‘이운재!’를 연호했다.
이운재가 두 번의 슛을 막아내는 순간 흥분의 도가니로 빠졌다.
마침내 김정우의 마지막 슛이 그물을 흔들자 ‘붉은 응원단’은 대형 태극기를 들어 올리고 서로 얼싸안으면서 태극전사들과 함께 승리의 기쁨을 나눴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수문장 이운재는 2002년 한일월드컵 8강전을 연상케 하는 신들린 선방으로 베어벡호의 4강행을 이끌었다.
핌 베어벡 감독이 이끄는 축구대표팀은 22일 오후(한국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8강전에서 전·후반과 연장 120분 혈투를 득점없이 비긴 채로 마친 뒤 이란전 승부차기에서 이운재의 빛나는 선방에 힘입어 4-2으로 이겨 준결승에 올랐다.
한국은 25일 오후 7시20분 같은 장소에서 이라크와 결승 진출을 다툰다.
한국은 1996년 아시안컵 8강에서 이란에 당한 2-6 참패와 2004년 중국 대회에서 3-4로 진 빚을 깨끗이 되갚았다.
조별리그에서 치욕의 탈락 위기를 맞으며 극도로 부진한 성적을 올렸던 베어벡호는 지난달 29일 평가전에서 3-0으로 이긴 적이 있는 이라크를 4강 상대로 맞게 돼 충분히 결승 진출을 바라볼 수 있다.
한편 이날 보슬비가 멈추지 않고 내리던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은 한국과 이란의 응원전으로 뜨거운 열기를 뿜어냈다.
양 팀 응원단은 경기시작 두 시간 전부터 삼삼오오 모여들어 응원전을 준비했다.
교민회를 중심으로 경기장에 모인 한국 응원단은 무려 5000여명.일요일 오후를 맞아 저마다 붉은색 티셔츠를 갈아입고 오랜 만에 쿠알라룸푸르를 찾은 태극전사들의 모습을 보기 위해 경기장에 집합했다.
이란 응원단 역시 만만치 않았다.
당초 소규모 응원단이 예상됐지만 ‘IRAN’이라고 쓰인 흰색 티셔츠까지 맞춰 입은 3000여명의 응원단이 전통 악기와 박수에 맞춰 경기 내내 ‘이~란’을 연호했다.
이미 말레이시아 대표팀이 조별리그에서 꼴찌로 탈락해 아시안컵 분위기가 가라앉은 상태라 10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경기장에 양쪽 응원단을 합쳐 겨우 1만여명만 모였지만 응원 함성은 ‘만원 관중’ 못지 않게 터져 나왔다.
90분의 치열한 장내 혈전이 무득점으로 마무리되고 연장으로 접어들면서 응원단의 열기도 주춤하는 듯 했지만 연장전에 접어들자 ‘붉은 응원단’은 아예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막대풍선을 두드리며 지쳐가는 태극전사에게 용기를 북돋워 주었다.
특히 연장 전반 15분께 오범석이 다리에 쥐가 나 넘어지자 곁에 있던 이란의 페리둔 잔디가 발목을 잡아주는 상황에서는 양쪽 응원단 모두에서 격려의 박수가 넘쳐나왔다.
속절없이 120분이 흐르고 운명의 승부차기 순간이 찾아오자 관중석은 ‘이운재!’를 연호했다.
이운재가 두 번의 슛을 막아내는 순간 흥분의 도가니로 빠졌다.
마침내 김정우의 마지막 슛이 그물을 흔들자 ‘붉은 응원단’은 대형 태극기를 들어 올리고 서로 얼싸안으면서 태극전사들과 함께 승리의 기쁨을 나눴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