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인들은 도자기의 푸른 색을 비색(翡色)이라 부른다.

요사이 고려 도자기 제작이 절묘해졌는데 그 색택이 더욱 아름답다.' 1123년 고려에 왔던 송나라 사신 서긍의 기록이다.

또 북송학자 태평노인은 '수중금(袖中錦)'에서 송 청자의 비색(秘色)이 아닌 고려 청자의 비색(翡色)을 천하제일로 꼽았다.

중국인들이 역사상 가장 아름답다고 여긴다는 북송의 여관요 청자 비색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정작 당시 지식인들은 고려 청자의 비색을 더 높이 평가했다는 얘기다.

정양모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같은 청자지만 느낌은 전혀 판이한 고려 청자와 중국 청자의 색깔 차이를 이렇게 설명했다.

"우리 청자의 비색이 산곡을 흐르는 맑은 물이나 모시발이라면 중국 청자의 색깔은 깊은 웅덩이의 물이거나 비단발과 같다. 하나는 맑고 은은하면서 투명하고 하나는 진하여 불투명하고 두꺼운 장막을 드리운 것과 같다." 실제 한·중·일의 도자기는 각기 특색을 지니지만 고려 청자의 색깔은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신비로움 자체다.

우리나라에 청자가 등장한 것은 9세기라지만 본격적으로 발전한 것은 11세기부터다.

11세기 중엽에 이르면 세련미가 한층 더해지고 점차 운학문 같은 독자적 문양이 생겨난다.

12세기 초반엔 비색과 조형미가 절정에 이르고 12세기 후반엔 상감청자가 나타난다.

상감청자 이전,비색이 돋보이는 것을 순청자로 부른다.

충남 태안 대섬 앞바다에서 바로 이 순청자의 절정기인 12세기 초 전남 강진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대접과 접시 주전자 항아리 등이 가득 실린 배가 발견됐다고 한다.

청자 가마는 서남 해안에 많았는데 강진은 특히 일등품을 만들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청자의 우수성은 여전히 수수께끼인 비색에만 있지 않다.

물병 화장품상자 연적 등 대부분 일상용품임에도 불구하고 종류는 다양하고 모양은 다채롭다.

이번 발견이 고려청자의 우수성과 함께 그릇 하나에도 독창성을 발휘했던 선조들의 예술정신과 장인정신을 다시 한번 되새기고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됐으면 싶다.

박성희 논설위원 psh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