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사원들의 첫 입사 나이가 크게 높아졌다. 지난 98년 이후 취업난이 장기화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직장을 잡기 위해 어학연수, 인턴 등으로 시간을 보내는 이들도 많아졌다.

취업ㆍ인사포털 인크루트는 리서치 전문기관 엠브레인과 함께 30세 이상 대졸 직장인 1천81명을 대상으로 첫 직장 입사 나이를 조사한 결과, 98년 이후 첫 직장을 잡은 신입사원 중 30세 이상자는 23.8%로, 1998년 이전의 10.3%보다 그 비율이 두 배 이상 높았다고 26일 밝혔다.

반면 24세 이전에 첫 직장을 잡은 사람은 24.2%에서 11.3%로 그 비율이 절반 이상 줄어들었다.

이처럼 30세 이상 늦깎이 새내기들이 늘어나면서 신입사원 평균 연령도 26.5세에서 28.5세로 두 살 더 많아졌다.

또 직장을 잡기 위해 어학연수를 다녀온 사람은 98년 6.9%에서 12.5%로 두 배 가까이, 취업에 도움이 되는 경험을 쌓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한 경우는 43.2%에서 67.2%로 대폭 늘어났다.

인턴 등 기업체험을 해봤다는 응답자도 98년 이전 18.4%에서 25.4%로 대학 재학 중 휴학을 하며 자격증 취득 등 취업준비를 한 응답자도 17.1%에서 27.0%로 각각 증가했다.

인크루트 관계자는 "최근 열린 채용으로 폭넓은 계층에게 취업기회가 늘어난 것은 긍정적이지만 취업난과 일자리 감소 등이 신입사원의 고령화에 가장 큰 원인인 만큼 이에 대한 근원적인 해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