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Trend] 美 "아침식사 시장 잡아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인들의 출근 시간이 빨라지면서 '식당'들도 새벽부터 부산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7일 맥도날드와 버거킹,스타벅스 등 패스트푸드와 카페 체인들이 문 여는 시간을 앞당기고 별도 메뉴를 개발하는 등 아침식사 시장을 잡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맥도날드는 지난주 미국 내 모든 점포의 개장 시간을 새벽 5시로 앞당기기로 했다.
지금도 점포의 75%가 이 시간에 문을 열지만 늘어난 아침식사 수요를 따라잡기 위해 더 공격적으로 나서기로 한 것이다.
맥도날드 최고경영진은 회의를 열고 미국내 1만6000여 점포 운영자들에게 '오전 5~7시를 바쁜 점심 시간과 똑같은 방식으로 운영할 것을 촉구했다.
이 같은 방침은 오전 일찍 일을 시작하는 '아침형 인간'이 많아진 데서 비롯됐다.
미국인들의 식사 시간이 점점 더 불규칙해지고 있는 것도 원인이다.
미국 맥도날드의 재니스 필드 최고운영책임자는 새벽 4시나 5시부터 하루 일정을 시작하는 미국인이 늘었다며 "이들이 필요한 시간에 매장 문을 열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예전에는 오전 6시나 7시였던 식당 개장 시간이 이에 따라 한 시간 이상 빨라지고 있다고 돈 톰슨 미국 맥도날드 사장은 말했다.
'아침 매출 늘리기'에 나선 곳은 맥도날드뿐만 아니다.
커피 체인점인 스타벅스는 최근 따뜻한 샌드위치를 아침식사용으로 추가했다.
웬디스도 아침 샌드위치를 내놓고 커피 질을 높여 아침식사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버거킹은 올해 초 저렴한 아침 메뉴를 내놓고 손님을 끌어들이기 시작했다.
이들은 아침식사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다른 어느 분야보다 높다고 보고 있다.
1970년대 에그맥머핀 등 아침 메뉴를 내놓으면서 이 분야의 우위를 차지해온 맥도날드는 도전자들에 맞서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내놓고 있다.
우선 콜라 등 청량음료 위주였던 음료 메뉴에서 커피 비중을 늘리고 커피의 질도 높였다.
웰빙 흐름에 맞춰 과일과 잡곡 등 재료 수준도 높이기로 했다.
맥도날드는 이를 통해 미국 내 연간 판매액을 2009년까지 현재보다 40만달러 늘어난 2400만달러 수준으로 높일 계획이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7일 맥도날드와 버거킹,스타벅스 등 패스트푸드와 카페 체인들이 문 여는 시간을 앞당기고 별도 메뉴를 개발하는 등 아침식사 시장을 잡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맥도날드는 지난주 미국 내 모든 점포의 개장 시간을 새벽 5시로 앞당기기로 했다.
지금도 점포의 75%가 이 시간에 문을 열지만 늘어난 아침식사 수요를 따라잡기 위해 더 공격적으로 나서기로 한 것이다.
맥도날드 최고경영진은 회의를 열고 미국내 1만6000여 점포 운영자들에게 '오전 5~7시를 바쁜 점심 시간과 똑같은 방식으로 운영할 것을 촉구했다.
이 같은 방침은 오전 일찍 일을 시작하는 '아침형 인간'이 많아진 데서 비롯됐다.
미국인들의 식사 시간이 점점 더 불규칙해지고 있는 것도 원인이다.
미국 맥도날드의 재니스 필드 최고운영책임자는 새벽 4시나 5시부터 하루 일정을 시작하는 미국인이 늘었다며 "이들이 필요한 시간에 매장 문을 열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예전에는 오전 6시나 7시였던 식당 개장 시간이 이에 따라 한 시간 이상 빨라지고 있다고 돈 톰슨 미국 맥도날드 사장은 말했다.
'아침 매출 늘리기'에 나선 곳은 맥도날드뿐만 아니다.
커피 체인점인 스타벅스는 최근 따뜻한 샌드위치를 아침식사용으로 추가했다.
웬디스도 아침 샌드위치를 내놓고 커피 질을 높여 아침식사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버거킹은 올해 초 저렴한 아침 메뉴를 내놓고 손님을 끌어들이기 시작했다.
이들은 아침식사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다른 어느 분야보다 높다고 보고 있다.
1970년대 에그맥머핀 등 아침 메뉴를 내놓으면서 이 분야의 우위를 차지해온 맥도날드는 도전자들에 맞서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내놓고 있다.
우선 콜라 등 청량음료 위주였던 음료 메뉴에서 커피 비중을 늘리고 커피의 질도 높였다.
웰빙 흐름에 맞춰 과일과 잡곡 등 재료 수준도 높이기로 했다.
맥도날드는 이를 통해 미국 내 연간 판매액을 2009년까지 현재보다 40만달러 늘어난 2400만달러 수준으로 높일 계획이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