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임기만료되는 윤증현 금융감독위원장 겸 금융감독원장이 금산(金産)분리 완화 문제를 임기 내 해결하지 못한 데 대해 아쉬움을 나타냈다.

윤 위원장은 1일 금감위·금감원 합동간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임기 중에 글로벌 금융회사를 육성하고 (금산분리를 완화해) 산업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생각을 했지만 실현하지 못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그러나 꾸준한 문제 제기로 금산분리 완화 문제를 공론화할 수 있는 초석을 놓은 것으로 소임을 다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과 없이 떠나는 것은 행운"이라며 "금융시장에서 큰 스캔들이 없었고 시장이 안정됐으며 금융회사들의 수익성과 건전성이 좋아진 데에도 자부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외환 위기와 카드 위기를 겪은 이후 금융시장이 안정됐지만 리스크가 곳곳에 남아 있다"며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간부들에게 "언론은 금융당국이 하는 일을 국민에게 이해시키고 전파하는 채널"이라며 "언론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해 달라"고 당부했다.

윤 위원장은 또 이날 기자들과 만나 "우리나라 금융산업이 발전하려면 최고경영자(CEO)의 연임 문화가 정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금융회사 CEO들은 일 좀 할 만하면 임기가 끝나 물러나는 게 관행처럼 돼 있다"며 "능력있고 성과가 뒤따르는 CEO는 연임할 수 있는 풍토가 마련돼야 하며 그래야 장기적인 비전을 갖고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위원장은 "연말연시에 은행장들이 달동네에 가서 연탄을 나르고 불우이웃 시설을 방문하는 게 연례 행사처럼 돼 있는데 정말 이런 일을 CEO가 할 일인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꼬집었다.

"글로벌 금융회사들과 경쟁하기 위해 1분,1초를 아껴 써야 하는 CEO들이 사회 분위기 때문에 시간을 낭비하는 잘못된 관행을 고쳐야 한다"는 주문이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