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달리는 孫ㆍ鄭 … 도도한 박상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범여권이 오는 5일 출범하는 제3지대 신당(미래창조대통합민주신당)에 중도통합민주당이 참여하는 문제를 놓고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손학규 전 경기지사와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천정배 의원,정대철 신당 창당준비위원장,김한길·박상천 통합민주당 공동대표 등 범여권 핵심인사 6명은 1일 긴급회동을 갖고 통합민주당의 신당 합류를 위한 담판을 벌였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손 전 지사와 정 전 의장 등은 이날 회동에서 "열린우리당을 통째로 받는 문제는 신당 창당 후 의결기구에서 논의하자"며 박 대표에게 조속한 결단을 촉구했다.
손 전 지사는 "어디를 가나 대통합이 화제이고 국민의 열망이다.
화두의 한 가운데에 박 대표가 있다"며 "박 대표가 대의를 이뤄나가기 위해서 여건을 마련하는 게 도리"라고 말했다.
정 전 의장도 "아프가니스탄 인질사태로 국민들이 우울해하고 있는데,오늘 좋은 얘기를 나눠서 국민들에게 선물을 줄 수 있으면 좋겠다"며 박 대표를 압박했다.
하지만 박 대표는 "공식 의결기구에서 열린우리당을 통째로 받지 않는다는 결의를 해주면 당내 의견을 조율한 후 제3지대 신당과 신설 합당을 논의할 수 있다"며 기존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았다.
그는 특히 "한번 들어가면 후퇴는 불가능하다"면서 "열린우리당을 통째로 받지 않는다는 보장 없이는 통합민주당이 지향하는 정상적인 정당을 만드는 것은 어렵고 자칫 잡탕식 정당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박 대표가 '열린우리당과의 당 대 당 통합 불가' 원칙을 굽히지 않음에 따라 범여권 제3지대 신당은 열린우리당 탈당파와 통합민주당 탈당 인사,손 전 지사 측 선진평화연대,시민사회세력인 미래창조연대만이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신당은 5일 일단 창당을 한 뒤 우선적으로 통합민주당과의 당 대 당 합당 협상에 주력하고,이후 통합민주당과 논의를 거쳐 열린우리당의 합류 방식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통합민주당 내에서 신당 창당에 동참해야 한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고,신당 측에서도 어떻게든 통합민주당을 끌여들여야 한다는 방침이어서 박 대표가 극적으로 입장을 바꿀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다는 관측도 나온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
손학규 전 경기지사와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천정배 의원,정대철 신당 창당준비위원장,김한길·박상천 통합민주당 공동대표 등 범여권 핵심인사 6명은 1일 긴급회동을 갖고 통합민주당의 신당 합류를 위한 담판을 벌였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손 전 지사와 정 전 의장 등은 이날 회동에서 "열린우리당을 통째로 받는 문제는 신당 창당 후 의결기구에서 논의하자"며 박 대표에게 조속한 결단을 촉구했다.
손 전 지사는 "어디를 가나 대통합이 화제이고 국민의 열망이다.
화두의 한 가운데에 박 대표가 있다"며 "박 대표가 대의를 이뤄나가기 위해서 여건을 마련하는 게 도리"라고 말했다.
정 전 의장도 "아프가니스탄 인질사태로 국민들이 우울해하고 있는데,오늘 좋은 얘기를 나눠서 국민들에게 선물을 줄 수 있으면 좋겠다"며 박 대표를 압박했다.
하지만 박 대표는 "공식 의결기구에서 열린우리당을 통째로 받지 않는다는 결의를 해주면 당내 의견을 조율한 후 제3지대 신당과 신설 합당을 논의할 수 있다"며 기존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았다.
그는 특히 "한번 들어가면 후퇴는 불가능하다"면서 "열린우리당을 통째로 받지 않는다는 보장 없이는 통합민주당이 지향하는 정상적인 정당을 만드는 것은 어렵고 자칫 잡탕식 정당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박 대표가 '열린우리당과의 당 대 당 통합 불가' 원칙을 굽히지 않음에 따라 범여권 제3지대 신당은 열린우리당 탈당파와 통합민주당 탈당 인사,손 전 지사 측 선진평화연대,시민사회세력인 미래창조연대만이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신당은 5일 일단 창당을 한 뒤 우선적으로 통합민주당과의 당 대 당 합당 협상에 주력하고,이후 통합민주당과 논의를 거쳐 열린우리당의 합류 방식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통합민주당 내에서 신당 창당에 동참해야 한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고,신당 측에서도 어떻게든 통합민주당을 끌여들여야 한다는 방침이어서 박 대표가 극적으로 입장을 바꿀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다는 관측도 나온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