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3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출신 주민이 지난 1년 사이 35% 늘어나 72만명을 돌파했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주민등록 인구의 1.5%에 달하는 규모다.

한국도 본격적인 다문화사회로 바뀌고 있는 셈이다.

행정자치부는 1일 전국 시·군·구를 통해 90일 이상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 5월 말 현재 외국인 주민은 72만2686명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유형별로 보면 근로자가 35.9%(25만9805명)로 가장 많았고 국제결혼이주자도 12.2%(8만7964명)에 달했다.

국적취득자는 7.5%(5만4051명),국제결혼가정자녀도 6.1%(4만4258명)였다.

지난 한 해 동안 외국인 주민이 급증한 것은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다양한 국제결혼 지원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면서 국제결혼을 통한 국내 이주외국인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실제 국제결혼이주자와 그 자녀수는 지난 1년간 46.1%(4만2000명) 증가했다.

국적 취득자도 작년에 비해 36.8% 많아졌다.

국내 대학들이 외국 유학생 유치에 본격나서면서 장기간 체류하는 유학생과 교수,강사 등도 상당수 늘어난 것으로 행자부는 분석했다.

국적별로는 중국이 37만9000명(52.4%)으로 가장 많았다.

조선족을 중심으로 국제결혼 및 국내 취업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베트남 6만명,필리핀 4만8400명,태국 2만8400명,미국과 일본 각각 2만4000명,인도네시아 2만2700명,대만 2만1000명 순이다.

전체적으로 중국과 동남아 출신 비중은 크게 늘어나는 반면 대만 미국 등은 줄어들면서 국가별 편중 현상도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주민의 거주지는 경기(29.7%) 서울(28.7%) 인천(6.0%) 등 수도권에 64.4%가 집중됐다.

외국인 주민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 영등포구로 1년 전보다 1만2400명 늘어난 2만6800명에 달했다.

안산시(2만6700명),서울 구로구(2만1000명),화성시(1만9900명) 등도 상위에 랭크됐다.

이들 지역을 포함,1만명이 넘는 지자체는 작년의 2배인 16곳이나 됐다.

구로구 관계자는 "가리봉동과 대림동 일대에 조선족 집단거주지가 형성되고 외국인노동자병원과 지원단체 등이 생겨나면서 자연스럽게 외국인 주민이 급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지현 한양대 사학과 교수는 "한국 사회가 과거 서양의 근대화 과정을 답습하면서 서양의 오리엔탈리즘적인 시각 역시 그대로 받아들여 한국인이 인종차별적이라는 말을 듣고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외국인이냐,내국인이냐를 따질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기여하느냐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라고 임 교수는 강조했다.

김철수/이호기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