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3일자) 수출호조에 가려진 3가지 위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업자원부가 지난달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0% 증가한 309억3000만달러로 잠정집계됐다고 밝히면서 환율하락 등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호조를 보이는 이유로 세 가지를 내세웠다.
글로벌 경제 호황, 개도국 수출비중 확대,주력기업 경쟁력 향상 등이 그것이다.
이 요인들 때문에 수출이 18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고,무역수지도 52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하고 있다는 얘기다.
수출이 호조를 보이는 건 물론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표면적 인과요인에만 주목할 경우 잠재된 위험요인들을 간과(看過)할 수 있다는 점에서 걱정되는 측면도 없지 않다.
따지고 보면 수출호조의 3대요인 자체에 위험요인도 내포되어 있다.
글로벌 경제 호황이 수출에 큰 힘이 되고 있음은 분명하지만 한편으로는 얽히고설킨 세계경제의 특성상 특정국가에서의 불안이 언제든 전 세계로 확산될 수 있다는 점을 무시할 수 없다.
특히 과잉유동성 상황에서는 특정 부문의 금융위기가 연쇄적 반응을 몰고 올 수 있고, 이는 실물경제에도 그대로 영향을 끼칠 것이다.
그런 점에서 특히 미국이나 중국 경제의 향배는 여전히 우리가 주시해야 할 대상이다.
개도국에 대한 수출비중 증가를 근거로 우리가 수출시장 다변화에 성공했다고 판단하는 것도 성급한 측면이 없지 않다.
개도국 수출비중이 지난해 63%를 기록, 선진국 수출비중을 앞질렀다고는 하지만 이는 미·일 등 시장에서 경쟁국들에 밀리고 있다는 애기다. 그런 점에서 올해 일본에 대한 무역적자가 사상 최대를 기록할 전망이고, 미국시장 점유율이 둔화되고 있는 것을 과소평가해선 안된다.
게다가 개도국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에 대한 무역흑자가 둔화(鈍化)되고 있는 것도 심각하게 생각해 볼 일이다.
주력기업의 경쟁력 향상도 마찬가지다.
과거와 달리 가격경쟁력을 넘어 기술경쟁력이 높아진 건 사실이지만 수출이 일부 대기업 중심, 일부 업종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는 점을 무시해선 안된다.
또 수많은 중소수출기업들은 원고(高) 바람에 수출을 접고 있다.
수출저변이 오히려 줄어들고 있는 것은 또 다른 위험요인이 아닐 수없다.
게다가 지금 우리는 차세대 수출 성장동력을 찾아내야 하는 절박한 과제를 안고 있다는 점도 망각해선 안된다.
수출의 양적 증가에 자만할 때가 아니다.
글로벌 경제 호황, 개도국 수출비중 확대,주력기업 경쟁력 향상 등이 그것이다.
이 요인들 때문에 수출이 18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고,무역수지도 52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하고 있다는 얘기다.
수출이 호조를 보이는 건 물론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표면적 인과요인에만 주목할 경우 잠재된 위험요인들을 간과(看過)할 수 있다는 점에서 걱정되는 측면도 없지 않다.
따지고 보면 수출호조의 3대요인 자체에 위험요인도 내포되어 있다.
글로벌 경제 호황이 수출에 큰 힘이 되고 있음은 분명하지만 한편으로는 얽히고설킨 세계경제의 특성상 특정국가에서의 불안이 언제든 전 세계로 확산될 수 있다는 점을 무시할 수 없다.
특히 과잉유동성 상황에서는 특정 부문의 금융위기가 연쇄적 반응을 몰고 올 수 있고, 이는 실물경제에도 그대로 영향을 끼칠 것이다.
그런 점에서 특히 미국이나 중국 경제의 향배는 여전히 우리가 주시해야 할 대상이다.
개도국에 대한 수출비중 증가를 근거로 우리가 수출시장 다변화에 성공했다고 판단하는 것도 성급한 측면이 없지 않다.
개도국 수출비중이 지난해 63%를 기록, 선진국 수출비중을 앞질렀다고는 하지만 이는 미·일 등 시장에서 경쟁국들에 밀리고 있다는 애기다. 그런 점에서 올해 일본에 대한 무역적자가 사상 최대를 기록할 전망이고, 미국시장 점유율이 둔화되고 있는 것을 과소평가해선 안된다.
게다가 개도국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에 대한 무역흑자가 둔화(鈍化)되고 있는 것도 심각하게 생각해 볼 일이다.
주력기업의 경쟁력 향상도 마찬가지다.
과거와 달리 가격경쟁력을 넘어 기술경쟁력이 높아진 건 사실이지만 수출이 일부 대기업 중심, 일부 업종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는 점을 무시해선 안된다.
또 수많은 중소수출기업들은 원고(高) 바람에 수출을 접고 있다.
수출저변이 오히려 줄어들고 있는 것은 또 다른 위험요인이 아닐 수없다.
게다가 지금 우리는 차세대 수출 성장동력을 찾아내야 하는 절박한 과제를 안고 있다는 점도 망각해선 안된다.
수출의 양적 증가에 자만할 때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