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내달께로 예상됐던 노무현 대통령의 임기 중 마지막 개각이 김성호 법무부 장관의 교체를 계기로 앞당겨지게 됐다.

청와대는 지난달 말까지만 해도 "개각은 계획하고 있지 않다"는 게 입장이었지만,김 장관의 정상적 업무수행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이 내려지면서 내부 검토 중이었던 개각안을 수면위로 끌어올린 것이다.

김 장관의 교체 사실이 알려진 6일 박홍수 농림,노준형 정보통신부 장관이 줄줄이 사의를 표명한 것도 이 같은 청와대 분위기를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9일 인사추천위원회를 열어 후임자를 확정한 뒤 대통령 재가를 거쳐 이날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개각 성격과 관련,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내각의 흐름을 크게 바꾸는 계획은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한덕수 총리-문재인 청와대 비서실장의 '투 톱 체제'가 이미 안정돼 있는 만큼 노 대통령과 임기를 같이할 내각 진용으로 인력을 보강하겠다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임명된 지 1년 이상 돼 일정한 역할을 다한 장관을 교체함으로써 내각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취지다.

박 장관의 경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퇴진이 기정사실화됐었고,노 장관도 장·차관을 포함,정무직을 3년 가까이 맡으면서 소프트웨어 시장활성화,이동통신망 임대 사업 허용 등 현안을 매끄럽게 마무리 지었다.

정치인 출신인 이상수 노동부 장관의 거취도 유동적이지만 본인이 장관직 수행에 강한 의욕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변수다.

이번 개각을 통해 새롭게 입각할 가능성이 높은 인물로는 윤대희 대통령 경제정책수석이 꼽히고 있다.

윤 수석의 경우 1년 넘게 노 대통령을 안정적으로 보좌했다는 점에서 개각이 점쳐질 때마다 장관 후보 1순위로 거론돼 왔다.

윤 수석의 경우 국무조정실장으로 가거나 일선 부처 장관으로 곧바로 내려갈 가능성이 모두 열려 있다.

임상규 국조실장은 정통부나 농림부 등으로의 이동이 예상된다.

다만 정통부 장관 후보에 유영환 현 차관도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고,후임 경제수석에 김대유 통계청장이 검토되고 있어 차관급 후속 인사도 잇따를 전망이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