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남북 정상회담이 성사되기까지는 북핵 문제가 가장 결정적인 변수였다.

'2·13 6자회담 합의'를 계기로 북핵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풀린 데 이어 지난 6월 말엔 북·미 간 방코델타아시아(BDA) 문제가 해결되면서 관련 논의가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다.

이후 7월 초 남측 김만복 국정원장과 북측 김양건 통일전선부장 간 접촉 제안→7월29일 북측의 김만복 원장 방북 초청 등의 일정으로 은밀한 논의가 급속도로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김 원장은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지난 2~3일과 4~5일 두 차례에 걸쳐 비공개로 북한을 방문,북측과 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했다.

김 원장은 8일 기자회견에서 "북측은 김정일 위원장이 참여정부 출범 직후부터 노무현 대통령을 만날 것을 결심했으나 분위기가 성숙되지 못했으며 최근 남북한 주변 정세가 호전되고 있어 수뇌 상봉의 가장 적합한 시기라고 말했다고 전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보통으로 분류되는 한나라당 정형근 최고위원은 "남북 정상회담은 순전히 우리 정부가 하자고 해 된 것으로 정부는 그동안 2개월 간격으로 이를 촉구해 왔다"고 말했다.

그동안 정부가 줄곧 함구했음에도 김 원장이 방북하기 전부터 북측과 물밑 접촉이 있어 왔다는 주장이다.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도 지난달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정부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 핵 실험을 막고 6자회담 복귀를 촉구하기 위해 지난해 8월 북한에 남북 정상회담 개최를 제안했다"고 밝힌 적이 있다.

실제로 지난해 10월 노 대통령의 최측근인 안희정씨가 중국에서 비밀리에 대북접촉을 가졌으며,이해찬 전 총리는 지난 3월 열린우리당 동북아평화위원장 자격으로 방북해 군불을 땐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총리는 이날 "북ㆍ미간,남북간에 실리를 쌓을 수 있도록 하는 메신저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 이화영 의원도 "이 전 총리는 방북 당시 대남관계 총책인 최석철과 깊이 있는 논의를 가지는 등 사실상 정상회담 특사 역할을 수행했다"고 전했다.

특히 지난 5월 말 서울에서 열린 제21차 남북 장관급 회담은 남측이 다시 정상회담 개최 의사를 전달한 창구로 활용된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측 권호웅 단장이 남측의 제안을 접수하면서 특별한 언급은 없었던 것으로 들었다"고 말했다.

당시 김 국정원장이 밤늦게 회담장을 찾아 이재정 통일부 장관을 만났고 이 장관이 다음날 노 대통령을 전격 면담한 것도 정상회담 제안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