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업을 제외한 2인 이상 전국 가구의 소득 증가세가 지난 2분기에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금과 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 증가율도 지난해보다 둔화돼 민간소비 부진 요인으로 지적됐다.

통계청이 8일 발표한 2분기 가계수지 동향에 따르면 전국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09만22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는 2005년 3분기(2.1%)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2분기 실질소득 증가율(전년동기비)은 1.0%에 그쳤다.

소득 종류별로는 근로소득이 195만6000원으로 1년 전보다 4.3% 늘었고 이자·배당·부동산임대 등 재산소득(7만7000원)은 주식시장 호황 등의 영향으로 1년 전에 비해 17.7%나 증가했다.

그러나 사업소득과 비경상소득(경조·퇴직·연금일시금 등)은 각각 0.8% 늘어나는 데 그쳐 전체적인 증가율을 떨어뜨렸다.

가계지출 면에서는 세금 국민연금과 각종 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이 1년 전보다 5.8% 증가했다.

이로 인해 전국 가구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269만4000원으로 1년 전에 비해 3.1% 늘어나는 데 그쳤다.

가계가 쓸 수 있는 소득이 줄어든 만큼 소비도 위축돼 2분기 월평균 소비지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 늘어난 210만2000원(월평균)에 머물렀다.

근로자가구는 전체 가구의 평균치보다 다소 나았다.

근로자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46만8400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4.8% 증가했다.

그러나 지난해 2분기 증가율(6.5%)에는 크게 못 미쳤고,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소득은 2.3% 늘어나는 데 그쳐 지난해 2분기(7.1%)에 비해 증가폭이 낮아졌다.

이에 대해 이재영 재정경제부 복지경제과장은 "2분기 가계의 소득증가세가 둔화된 것은 공무원의 상여금 지급방식 변경 등 기술적 요인 때문으로 약 1.6%포인트 감소효과가 생겼다"며 "상여금 요인을 제외할 경우 2분기 소득증가율은 약 5% 초반으로 소득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계층 간 소득격차를 보여주는 소득5분위 배율(상위 20%가 하위 20%의 몇 배를 버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은 전국 가구의 경우 7.27로 지난해 같은 기간(7.24)에 비해 다소 높아져 소득분배 구조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가구의 흑자율은 22.0%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0.4%포인트 하락했다.

현승윤 기자 hyun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