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차 남북정상회담 발표 이후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주요 경제단체들이 일제히 환영성명을 내놓았다.

남북경제협력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남북 경협(經協) 확대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디딤돌이 될 것임은 틀림없다.

남한의 자본과 기술력,북한의 자원과 인력이 효율적으로 결합된다면 궁극적으로 남북경제공동체로 발전하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지나치게 기대만 키울 일이 아닌 것 또한 사실이다.

7년 전의 1차 정상회담 때도 많은 교류협력 약속이 이뤄졌지만 지금껏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 사업만 진전되고 있을 정도로 극히 제한된 범위의 성과만을 거두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이번 정상회담과 관련,정부가 북한에 대규모 차관을 제공하거나 획기적 지원방안을 제시할 것이라는 관측들이 벌써부터 제기되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이 그동안 '포괄적인 대북협력 계획'과 '깜짝 놀랄 선물' 등을 언급해온 것과 같은 맥락이다.

아직 북측의 명확한 핵폐기 의지도 확인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 이 같은 대북지원 카드부터 거론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스럽지 않은 일이다.

게다가 임기말 정부가 북한에 대해 각종 지원책을 남발(濫發)한다면 차기 정부에도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또다시 일회성 지원 사업에만 매달릴 경우 '퍼주기'의 비난을 면할 수 없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번 회담에서 남북이 모두 이익을 챙길 수 있는 사업부터 추진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컨대 경의선과 동해선의 남북간 정기운행이 그것이다.

이재정 통일부장관이 어제 "남측 대표단이 육로(陸路)로 갈 수 있도록 북측에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힌 점도 경의선을 적극 활용하자는 정부 입장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도 북한의 개혁과 개방을 이끌어낼 수 있는 경협 모델을 마련한 뒤 실천에 옮기는 것이 중요하다.

기업들이 마음 놓고 북한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완비하는 데에도 역점을 두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