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의 드러나면 업무방해ㆍ사문서 위조 등 처벌

검찰이 잇단 가짜 학력 의혹에 대해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이명재 부장검사)는 10일 학력 위조 논란을 빚고 있는 김옥랑 동숭아트센터 대표 겸 단국대 교수와 건축 디자이너인 이창하 김천과학대 교수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고 10일 밝혔다.

김홍일 서울중앙지검 3차장검사는 이날 브리핑에서 "교원 임용 과정에서 허위학력이 기재된 서류를 제출해 사회적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고 수사착수 배경을 설명했다.

검찰은 조만간 두 교수를 소환해 학력을 속이고 교원 임용 절차를 밟았는지 확인할 예정이며 혐의가 드러나면 업무방해와 사문서 위조 등 혐의로 형사처벌할 방침이다.

검찰은 두 교수를 출국금지 또는 입국시통보 조치하고 소환 일정 조율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는 그간 저서 등에서 이화여대 영문과에 재학했으며 미국 퍼시픽 웨스턴대를 졸업했다고 밝혀왔다.

그러나 이대 측은 김씨가 이대에 입학한 기록이 없다고 전했으며 퍼시픽 웨스턴대는 비(非)인가 대학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김씨의 성균관대 박사논문 심사위원 중 1명이 김씨가 설립한 옥랑문화재단의 이사였던 것과 관련해 김씨의 박사 학위 취득 과정에 문제가 없었는지도 수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창하씨는 고교 졸업 후 수원대 경영대에 입학해 연구과정을 수료했다고 알려졌으나 학력 위조 의혹이 불거지자 "경영대학이 아닌 경영대학원에서 개설한 1년짜리 연구과정을 수료했다"고 고백한 바 있다.

앞서 대검은 연말까지 전국 13개 주요 지방검찰청의 특별수사 전담부서에 `신뢰 인프라 교란사범 단속전담반'을 편성하고 유관기관과 협조해 학위ㆍ자격증ㆍ국내외 인증 등 3개 분야를 집중 단속한다고 8일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조성현 안희 기자 eyebrow76@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