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면 금주 0.25%P 인하 가능"..중론 "중앙銀 유동성 확대로 충분하다"

주요 중앙은행들이 지난주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충격으로 인한 금융시장 소요를 진정시키기 위해 9.11 테러 후 최대 규모로 돈을 푼 가운데 이것으로도 부족해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지난 1년 이상 고수해온 금리동결 기조를 조기 포기할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꼬리를 물고 있다.

이와 관련해 월가 일각에서는 FRB가 내달의 정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빠르면 금주중 연방기금 금리를 0.25%포인트 전격 인하할지 모른다는 전망까지 제기됐다.

반면 FRB가 8월의 미국 실업률 추이를 지켜본 후 상황이 여의치 않다고 판단할 경우 이달안에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월가의 중론은 FRB가 금리 인하보다는 유동성 추가 공급과 유럽중앙은행(ECB)과의 통화 스와프 등을 통해 금융시장을 진정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쪽으로 모아지고 있다.

이렇게 관측하는 이들은 FRB의 조기 금리인하가 모기지율 상승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는 장기채권 수익률을 높여 결과적으로 이번 모기지 위기를 가중하게 될 것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또 금리 인하가 달러 약세를 더욱 부추기며 미 국채 투자 매력도 감소시켜 미 경제에 또 다른 타격을 가한다는 점도 상기시켰다.

CNN 머니는 시카고선물거래소(CBT) 연방선물기금 추이가 이달 안에 연방기금 금리가 0.25%포인트 떨어질 것임을 예고하는 쪽으로 나왔다고 전했다.

퍼스트 아메리칸 펀드 수석애널리스트는 CNN 머니에 "FRB가 내달의 정례 FOMC에서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본다"면서 "FRB가 여전히 인플레를 우려하기 때문에 8월 실업률 추이를 지켜본 후 결정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달 미국의 실업률이 4.6%였음을 상기시키면서 8월 수치가 4.7%까지만 상승해도 FRB가 '경기가 확실히 나빠졌구나'하고 확실히 판단해 금리를 내리게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반면 푸트남 인베스트먼트 애널리스트는 'FRB가 다급하다'는 논리를 내놨다.

그는 금융시장이 이번주 초에도 개선되기 힘들 것으로 본다면서 따라서 "신용 경색이 악화될 경우 FRB가 (빠르면) 이번 주라도 전격적으로 금리를 내리지 않겠느냐는 판단"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FRB가 9.11 테러와 지난 97-98년의 아시아 금융위기를 상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물론 이런 상황이 오지 않길 바란다"면서 그러나 "시장이 히스테리를 보일 경우 (펀더멘털에 관계없이 이것이) 경제 전반에 심각한 타격을 가한다는 점을 FRB가 우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이 '패닉'에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FRB가 조기 금리인하라는 선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FRB가 그렇게까지 조급하게 움직일 상황이 아직은 아니라는 점에 월가의 중론이 모아지고 있다.

한 애널리스트는 CNN 머니에 "금리를 내리는 것보다는 중앙은행들이 공조해 유동성 공급을 늘리는 것이 효과적"이라면서 중앙은행들의 개입으로 지난주 증시가 일단 진정된 상황에서 폐장된 점을 상기시켰다.

그는 "FRB가 패닉에 빠질 정도의 상황은 아니다"라는 점을 강조했다.

파이낸셜 타임스도 12일 인터넷판에서 금융시장 일각에서 FRB 금리인하 얘기가 나오지만 그런 시사가 아직은 없다면서 "FRB가 ECB의 통화 스와프 제의에 동조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지배적"이라고 전했다.

FRB와 ECB가 통화 스와프에 합의할 경우 9.11 테러 후 처음이라는 점을 신문은 상기시켰다.

신문은 그러나 금융시장 동요가 이번주 초 며칠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 경우 헤지펀드와 기관투자가들이 서브프라임 모기지 충격으로 손해본 부분을 만회하기 위해 급히 자산 매각에 나설 수 밖에 없을 것이며 이것이 금융시장에 또 다른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경고했다.

한편 월스트리트 저널은 지난 11일자에서 FRB가 서브프라임 모기지 파동에 영향받아 금리를 조기 인하할 경우 이것이 '더 큰 도덕적 해이를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왜냐하면 높은 수익을 노리고 위험 부담이 큰 금융 품에 투자해 문제가 생길 경우 정부가 보상한다는 기대감을 깊게 뿌리 내리게 한다는 것이다.

(서울연합뉴스) 선재규 기자 jks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