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 신도시로 지정된 지역의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해제 작업이 이달부터 시작되는 등 신도시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하지만 송파 신도시에 걸쳐 있는 서울·성남·하남시 등 3개 지자체가 임대주택 건설 비율,쓰레기 소각장 설치 문제 등을 먼저 해결할 것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13일 건설교통부와 서울·성남·하남시 등에 따르면 건교부는 지난달 말 송파신도시 개발계획 확정을 위해 이들 지자체에 그린벨트 해제를 위한 주민 공람을 요청했다.

송파 신도시는 서울 송파구 거여·장지동과 성남시 창곡동,하남시 학암동 일대 200만평 규모로 대부분 그린벨트로 지정돼 있다.

이에 따라 성남시는 지난 3일부터 주민 공람을 실시 중이며 서울시와 하남시는 실시 시기를 검토하고 있다.

2주일 안팎의 주민 공람이 끝나면 해당 지자체 의회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승인을 거쳐 송파신도시 개발 계획이 확정된다.

건교부는 그린벨트 해제 작업이 끝나는 대로 다음 달 중 개발 계획을 확정,내년 6월 실시계획 승인을 거쳐 2009년 9월부터 주택을 분양할 계획이다.

송파 신도시에는 총 4만9000가구(인구 12만3000명)의 주택이 건설될 예정이다.

그러나 서울시와 하남시는 주민 공람에 앞서 건교부와 임대주택 비율 하향 조정 등 요구 사항을 먼저 협의하자는 입장이어서 사업 일정에 변수가 되고 있다.

서울시는 송파구에 지어질 임대 주택 비율을 재조정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하남시도 현재 하남시에만 건립될 예정인 쓰레기 소각장을 3개 지자체에 분산 배치하고 그린벨트 해제에 따른 개발 이익을 하남시에 재투자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건교부 관계자는 "지자체들의 요구 사항을 취합,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