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둘레를 엉덩이둘레로 나눈 허리-엉덩이둘레비율(WHR)이 심장병 위험을 가장 정확하게 알려주는 위험지표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텍사스 대학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 관상동맥질환치료실장 제임스 레모스 박사는 미국심장학회 저널(Journal of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최신호에 실린 연구논문에서 남녀 2천744명(30-65세)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분석 결과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등 전통적인 심장병 위험요인을 제외했을 때 체질량지수(BMI), 허리둘레, WHR 중에서 WHR이 가장 큰 심장병 위험지표인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한 것으로 헬스데이 뉴스가 13일 보도했다.

레모스 박사는 2년에 걸쳐 이들의 BMI, WHR, 허리둘레를 재고 자기공명영상(MRI)로 동맥경화, 전자빔컴퓨터단층촬영(EBCT)으로 동맥의 칼슘침착을 측정했다.

동맥의 칼슘침착이 심하면 협심증과 심장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

그 결과 WHR 상위그룹이 하위그룹에 비해 동맥경화 위험이 3배, 동맥의 칼슘침착 위험이 2배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레모스 박사는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skh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