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서구 가정동 일대에서 추진 중인 '가정오거리 입체도시 개발사업'의 보상작업이 오는 11월로 예정됐지만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되면서 사업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가정오거리 입체도시 개발사업은 인천시가 도시균형발전을 위해 추진 중인 '도시재생사업'의 시범사업으로 낙후 주거지역인 서구 가정동 가정오거리 일대를 2013년까지 첨단 주거·상업지역으로 탈바꿈시키는 사업이다.

개발면적 97만2000㎡(28만4000평)에 보상대상가구만 1만2000여가구에 이른다.

사업시행자인 인천시와 주택공사는 오는 11월까지 지장물 조사 등 사전보상 준비작업을 마무리하고 보상에 나설 방침이다.

이로써 이달 중에 보상계획공고를 내고 내달까지 감정평가사를 선정,토지 및 지장물 감정평가에 착수키로 했다.

개발지역 내 토지는 환지방식이 아닌 현금보상으로 처리하고,세입자는 주거이전비를 지급하거나 인근 임대아파트 입주권을 공급할 계획이다.

그러나 가정오거리 일대 주민들이 '가정동 연합주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보상 계획에 강력히 반발하는 바람에 작년 12월부터 시작된 지장물조사가 현재 50%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태다.

주민들의 경우 인근 지역 땅값이 높아 현금보상을 받아도 마땅히 옮길 곳이 없고,세입자 이주대책도 충분치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주민들은 주택공사의 지장물조사 불응은 물론 감정평가에도 협조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대책위원회 관계자는 "현금보상과 함께 환지보상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며 "가정동 세입자 5000~6000명이 옮겨 살 수 있는 임대아파트를 어떻게 마련할지 구체적인 계획도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주택공사는 이 사업이 경인고속도로 직선화 공사와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효율적 진척을 위해 환지보상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주택공사 인천지역본부 관계자는 "환지보상이 어려운 줄 알면서도 주민들이 전략적으로 요구하는 측면이 강하다"며 "하지만 세입자 이주대책 등은 일부 보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