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신당 컷오프 1인2표 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통합민주신당이 다음 달 3~5일 실시하는 대선 후보 '컷오프'(예비경선)를 앞두고 경선룰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여론조사 방식으로 치러지는 컷오프에서 설문 대상자 1명이 2명의 후보를 고르도록 한 조항에 대해 일부 친노주자들이 우려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신당의 예비경선은 선거인단(일반국민 70%+승계당원 30%)에서 1만명을 무작위로 추출해 실시하는 여론조사가 50%,일반인 2400명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가 50%씩 반영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가운데 선거인단에는 당원을 포함,각 후보 진영이 모집하는 특정 주자 성향의 유권자들이 상당수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조직표가 전략적으로 움직여 특정 후보를 탈락시키기 위한 '배제 투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예컨대 자신의 지지 후보와 경합하는 상대 후보를 의도적으로 탈락시키기 위한 투표가 이뤄져 예상 외의 후보가 어부지리를 얻으면서 민심을 왜곡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범여권 통합 국면에서 '배제론'의 당사자로 지목됐던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측은 유 전 장관에 대한 신당 내부의 거부감이 여전한 만큼 컷오프 과정에서 '유시민 배제론'이 되살아나지 않을까 긴장하는 분위기다. 이해찬 전 총리 측도 "선두권 후보와 지지도가 낮은 후보가 연대하는 방식으로 표심이 작용한다면 의외의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손학규 전 경기지사와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 측은 본선 경쟁력을 감안할 때 1인 2후보 선택 방식을 도입해도 결국 상위권 후보군에 표가 집중될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한명숙 전 총리 측도 비호감도가 낮다는 점을 들어 기대를 걸고 있고,천정배 의원 측도 정책과 노선에서 확실한 색깔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
여론조사 방식으로 치러지는 컷오프에서 설문 대상자 1명이 2명의 후보를 고르도록 한 조항에 대해 일부 친노주자들이 우려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신당의 예비경선은 선거인단(일반국민 70%+승계당원 30%)에서 1만명을 무작위로 추출해 실시하는 여론조사가 50%,일반인 2400명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가 50%씩 반영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가운데 선거인단에는 당원을 포함,각 후보 진영이 모집하는 특정 주자 성향의 유권자들이 상당수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조직표가 전략적으로 움직여 특정 후보를 탈락시키기 위한 '배제 투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예컨대 자신의 지지 후보와 경합하는 상대 후보를 의도적으로 탈락시키기 위한 투표가 이뤄져 예상 외의 후보가 어부지리를 얻으면서 민심을 왜곡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범여권 통합 국면에서 '배제론'의 당사자로 지목됐던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측은 유 전 장관에 대한 신당 내부의 거부감이 여전한 만큼 컷오프 과정에서 '유시민 배제론'이 되살아나지 않을까 긴장하는 분위기다. 이해찬 전 총리 측도 "선두권 후보와 지지도가 낮은 후보가 연대하는 방식으로 표심이 작용한다면 의외의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손학규 전 경기지사와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 측은 본선 경쟁력을 감안할 때 1인 2후보 선택 방식을 도입해도 결국 상위권 후보군에 표가 집중될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한명숙 전 총리 측도 비호감도가 낮다는 점을 들어 기대를 걸고 있고,천정배 의원 측도 정책과 노선에서 확실한 색깔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