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최근 콜금리 목표치 인상 시점의 적절성을 두고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해외 투자은행(IB)과 분석기관들도 엇갈린 평가를 내놓고 있다.

14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외국계 투자은행인 모건스탠리의 샤론 램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보고서에서 "금리 인상이 유동성에 미치는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며 "이에 반해 소비회복 속도를 더욱 더디게 만들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은의 콜금리 인상이 가계의 이자부담으로 이어지고 이것이 소비를 둔화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다.

램 이코노미스트는 또 "소비회복 둔화는 3분기의 일시적인 글로벌 수요 둔화와 맞물려 단기적으로 한국의 성장 속도를 다소 늦출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최근 소비심리가 회복 신호를 보이고 있지만 증시조정과 대외적인 불확실성,금융 긴축정책 등으로 인해 당분간 추가 개선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모건스탠리는 연내 콜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내년 초반에는 추가로 인상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이에 비해 분석기관인 글로벌인사이트는 한은의 콜금리 목표치 인상 시기가 오히려 늦었으며 금리인상이 경기회복세에 그다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으로 평가했다.

글로벌인사이트는 "한은이 콜금리를 두 달 연속 인상함에 따라 한은의 통화정책이 경기순응적에서 긴축적으로 선회했다"며 "통화정책의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일정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할 때 사실상 한은의 금리인상이 다소 늦은 감이 있다"고 지적했다.

글로벌인사이트는 또 "최근의 견조한 경제여건,수출과 내수 간 균형 회복,안정된 고용여건,생산성 향상 등을 감안할 때 금리인상이 경기회복세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번 금리인상과 관련,일각에선 "타이밍이 절묘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글로벌 신용경색에 따른 시장리스크가 금통위 이전에 부각됐으면 콜금리 목표치 인상을 결정하기 어려웠을 것이고,이미 지나치게 많이 풀려 있는 시중 유동성을 마냥 방치할 경우 쏠림현상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정성 심화가 오히려 더 큰 문제가 될 수도 있다는 이유에서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