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제2차 평양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제안하려는 '경제공동체' 추진은 지금까지의 경협과는 차원을 달리한다.

단순한 협력이 아니라 경제원칙에 따라 남측의 자본이 투입되고 이익을 내는 사업의 형태로 이를 구체화시켜내겠다는 것이다.

청와대 안보수석실은 "남쪽의 적극적인 투자와 북쪽의 장기적 경제발전이 함께 맞물리는 새로운 단계의 경제협력으로 발전해야 하며,이는 안보와 평화를 위한 장기적 투자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남북 경제공동체는 우리 경제에 또 하나의 돌파구가 될 것이라는 게 노 대통령의 생각이다.

지난달 민주평통 출범식에서 '북방경제'의 가능성을 거론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노 대통령은 지난 3월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한 자리에서도 "한국경제의 세 번째 특수는 북쪽에 있다"고 말했다.

남북의 도로와 기차가 중국 러시아로 바로 연결되고 만주 연해주 개방이 이뤄지면 한국경제가 또 한번의 기회를 맞게 된다는 설명이었다.

남북의 경제협력 관계가 증진되고 신뢰관계가 정착될 경우 참여정부가 일관되게 추진해 온 '경제를 위한 안보'라는 정책기조도 자리를 잡을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구상이다.

실제로 철도 도로연결을 통한 물류 사업 외에 개성공단의 본격적인 확대와 제2 경제특구사업 추진,비무장지대(DMZ) 공동개발 등도 이러한 기조에서 이미 구체적 실행 사업으로 제안된 상태다.

문제는 이러한 경제공동체를 위해 적지않은 자본이 북한의 산업 인프라 확보차원에서 '선(先) 투자'돼야 한다는 점이다.

이 같은 부정적인 국내 여론의 기류에도 불구하고,정부와 청와대는 '마셜플랜' 차원에서 이 문제를 바라봐야 한다는 시각이다.

노 대통령도 미국의 마셜플랜이 제2차 세계대전 직후 가장 효과적인 정책이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북한 경제를 살릴 경우 한반도와 중국이 단일의 효율적인 시장으로 통합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특히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있는 국내 자본의 과잉유동성 해소 차원에서도 북한은 가장 기대이익이 높은 투자처라는 판단을 갖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6자회담을 통한 북핵해결 효과보다는 실질적인 경제협력이 우리에게 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정상회담은 남북 모두에 상호 이익이 되고 평화보장에 기여할 수 있는,실질적인 협상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