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이명박·박근혜 대선 후보 캠프가 경선전이 본격화된 이후 검찰의 수사에 웃고 우는 날이 계속되고 있다.

상대방을 겨냥한 고소 고발전으로 번갈아 가며 '잔매'를 맞다가 '도곡동 땅'사건에 이르자 검찰발표가 경선 판도의 주요 변수로 부상했다.

지난 6월 검찰이 이 후보의 선거 사조직이라고 판단한 '희망세상21 산악회'사무실을 전격 압수수색하면서 이 후보는 악재를 만났다.

이 후보 측 박희태 선대위원장은 "권력이 동원돼 '이명박 죽이기'에 나서는 것 같다"고 맹비난했다.

그러나 이 후보의 대운하 공약을 비판한 정부 보고서를 박 후보 측의 모 교수가 입수했다는 소식이 알려지고,이 후보 일가의 주민등록초본 유출에 박 후보 측 인사가 관련됐다는 사실이 드러나자,상황은 급반전됐다.

또 이 후보는 출생 문제와 관련,검찰이 DNA검사를 동원해 의혹을 해소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이득을 챙겼다.

하지만 박 후보에 대해 허위사실을 공표한 혐의로 구속된 김모씨 배후에 이 후보 캠프 인사가 관여된 것으로 알려지자 상황은 또 역전됐다.

이 후보 측이 위증을 교사하고 그 대가로 1억2050만원을 제공했다는 김유찬씨 주장에 대해 검찰이 허위로 결론내자,이 후보 측은 "박 후보 측이 경선 시작부터 끝까지 '뻥폭탄'으로 일관하나"라고 공격했다.

'최태민 보고서'유출경위와 관련,최근 검찰이 국정원 관계자를 소환 조사한 것을 두고 박 후보 측은 "이 후보 측과 국정원이 합작해 '박근혜 죽이기'에 나섰다고 주장했다.

반면,국정원이 이 후보의 개인정보를 열람한 것으로 드러나자,이 후보 측은 '이명박 죽이기'라고 규정하고 강력 반발하기도 했다.

홍영식/김인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