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당으로서 한때 152석을 확보하며 정국을 주도했던 열린우리당의 이름이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열린우리당은 18일 전당대회를 열고 '대통합민주신당'(신당)과의 합당을 결의할 예정이다.

열린우리당의 당명은 물론 당의장과 원내대표를 비롯한 주요 당직자들의 직위,당헌·당규 등도 소멸하게 된다.

창당한 지 3년9개월 만이며,2004년 11월 노무현 대통령이 "100년 넘는 역사를 가진 성공한 정당을 만들어 보자"는 메시지를 보낸 지 3년도 채 안되어서다.

열린우리당 지도부는 17일 영등포 당사에서 마지막 확대간부회의를 열고 "국민 성원에 보답하지 못하고 간판을 내리는 데 대해 죄송하다"며 일렬로 서서 고개를 숙였다.

정세균 의장은 이 자리에서 "마지막 당의장으로 기록된다는 것이 정치인생에서 결코 잊지 못할 아픔이 될 것"이라며 "국민에게 신뢰를 드리지 못한 것이 우리당의 가장 큰 과오였다.

국민과 함께하는 노력,국민의 마음을 얻는 노력이 부족했던 것이 아닌가 뼈저리게 반성한다"고 다시 한 번 사과했다.

회의 와중에는 당직자들의 울음소리가 새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사실상 신당에 흡수되는 데 대한 당원들의 반발이 거세다.

당 사수파로 구성된 '우리당지킴이 연대'는 18일 전대에서 당 지도부가 표결처리 없이 합당을 의결할 경우 합당 무효소송을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열린우리당 사수를 주장하는 김혁규 전 의원을 중심으로 당의 명맥을 이어 나가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 전대에서 물리적 충돌도 예상된다.

열린우리당과의 당대당 합당을 반대하는 신당 내의 움직임도 정 의장 등의 발걸음을 무겁게 한다.

이종걸 문학진 의원을 비롯한 신당 중앙위원 150명은 "(합당에 앞서) 열린우리당의 공식적인 반성 및 사과가 필요하다"고 압박했으며 민주당 출신 원외위원장 45명은 17일 워크숍을 열고 관련 대응방향을 모색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