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상권 이렇게 살리자] (1) 부천 자유시장 ‥ 조길원 상인회장 "경영마인드 고취에 주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유시장은 시장 현대화,상인교육장 마련,남부역 지하 주차장 확보 등 3대 과제 해결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조길원 부천 자유시장 상인회장은 시장 현대화를 위한 첫 사업으로 아케이드 설치공사를 연내 시작,내년 말 완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청과 경기도,부천시 등의 예산지원과 상인 자부담을 합쳐 1차 사업비 21억5000만원을 마련했다고 조 회장은 설명했다.
현재 시설 현대화에 대한 연구용역을 의뢰한 상태로,오는 10월께 용역 결과가 나오면 연말까지는 아케이드 설치 공사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조 회장은 "식품류는 바로 옆에 있는 대형 마트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분명히 있는 데도 소비자들이 재래시장을 외면하고 있다"며 안타까워했다.
이는 '앉아서 오는 손님만 받는' 상인들의 오랜 습관에도 원인이 있다면서 교육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조 회장은 상인들에게 경영 마인드를 불어넣어 줄 교육장 마련에 소매를 걷어붙였다.
교육장은 현재 상인회 사무실 위로 증축을 통해 추진할 계획이며 소요 예산은 1억원으로 잡고 있다.
"상인 교육장을 배움의 장소뿐만 아니라 서예강좌 건강수련 등을 겸하는 문화센터처럼 운영함으로써 상인들이 신나는 재래시장 만들기에 자발적으로 나서도록 할 작정입니다."
부천역 남부광장 쪽에 지하 주차장이 건설되면 여기에 44대분의 주차공간을 할당받는 것도 큰 과제로 대두됐다.
재래시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가장 큰 불편이 주차장 문제이기 때문이다.
부천시에서는 남부광장 조성 공사의 하나로 지하에 110대를 수용할 수 있는 주차장 건설을 추진 중이다.
그는 "시장 외부인들이 주축이 돼 자유시장 재개발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일부 점포 소유주들이 여기에 동조하고 있지만 재개발에 상관없이 시장 활성화는 추진돼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통상 재개발에 10년 이상 장시간이 걸리는 만큼 그때까지 상인들이 손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조 회장 자신도 떡집을 운영하는 점포 소유주다.
강창동 유통전문기자 cdkang@hankyung.com
조길원 부천 자유시장 상인회장은 시장 현대화를 위한 첫 사업으로 아케이드 설치공사를 연내 시작,내년 말 완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청과 경기도,부천시 등의 예산지원과 상인 자부담을 합쳐 1차 사업비 21억5000만원을 마련했다고 조 회장은 설명했다.
현재 시설 현대화에 대한 연구용역을 의뢰한 상태로,오는 10월께 용역 결과가 나오면 연말까지는 아케이드 설치 공사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조 회장은 "식품류는 바로 옆에 있는 대형 마트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분명히 있는 데도 소비자들이 재래시장을 외면하고 있다"며 안타까워했다.
이는 '앉아서 오는 손님만 받는' 상인들의 오랜 습관에도 원인이 있다면서 교육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조 회장은 상인들에게 경영 마인드를 불어넣어 줄 교육장 마련에 소매를 걷어붙였다.
교육장은 현재 상인회 사무실 위로 증축을 통해 추진할 계획이며 소요 예산은 1억원으로 잡고 있다.
"상인 교육장을 배움의 장소뿐만 아니라 서예강좌 건강수련 등을 겸하는 문화센터처럼 운영함으로써 상인들이 신나는 재래시장 만들기에 자발적으로 나서도록 할 작정입니다."
부천역 남부광장 쪽에 지하 주차장이 건설되면 여기에 44대분의 주차공간을 할당받는 것도 큰 과제로 대두됐다.
재래시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가장 큰 불편이 주차장 문제이기 때문이다.
부천시에서는 남부광장 조성 공사의 하나로 지하에 110대를 수용할 수 있는 주차장 건설을 추진 중이다.
그는 "시장 외부인들이 주축이 돼 자유시장 재개발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일부 점포 소유주들이 여기에 동조하고 있지만 재개발에 상관없이 시장 활성화는 추진돼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통상 재개발에 10년 이상 장시간이 걸리는 만큼 그때까지 상인들이 손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조 회장 자신도 떡집을 운영하는 점포 소유주다.
강창동 유통전문기자 cd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