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72.2% "구체적이고 뚜렷한 직장 내 목표 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목표를 정하고, 목표에 알맞은 크고 작은 계획들을 세워라"
어느 책에서 말한 성공의 요건이였던가. 같은 능력을 지녔더라도 목표의식의 유무의 차이에 따라 능력발휘의 효과는 천차만별이다.
인맥관리사이트 인크루트 인맥(nugu.incruit.com)과 리서치 전문기관 엠브레인(www.embrain.com)은 직장인 2천 149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목표의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체의 72.2%(1,551명)는 직장 내에서 이루고자 하는 뚜렷하고 구체적인 목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7명은 저마다 목표를 세워놓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매진하고 있는 것.
이들이 설정한 목표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전문성 획득".
직장에서 성취하고자 설정한 목표의 종류를 물었더니 전문성 획득(32.2%)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던 것. 커리어 관리의 관점으로도 볼 수 있는 ‘전문성’은 지속적으로 스스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직장인들이 꼽은 것으로 보인다.
이어서 '직장 내 사람들로부터 인정받는 것'(18.4%) '연봉'(17.7%), '직급'(15.9%), '정년까지 다니는 것'(14.6%)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성별로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전문성 획득’이란 목표가 가장 많이 나온 가운데, 남성은 ‘직장 사람들로부터 인정받는 것’(19.1%)과 ‘직급’(17.0%)를 많이 꼽은 반면, 여성은 ‘연봉’(19.8%)을 전문성 획득 다음으로 많이 꼽았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지위, 외적 요건보다는 좀 더 실리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수 있었다.
연령별로는 ‘정년까지 계속 다니는 것’이란 목표가 40대를 기점으로 확연히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대, 30대에서 각각 6.0%와 8.1%에 머물렀던 데 반해, 40대에 들어서면 23.8%로 급격히 증가했고 50대 이상에서는 28.1%에 달했다. 나이가 들수록 고용불안감이 높아져 개인의 가치를 높이고 원하는 보상을 받는 것보다는 직장생활을 오래 영위하는 것 자체를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크루트 인맥 이종목 팀장은 “어떤 곳에서든 구체적인 목표를 정한다는 것은 그만큼 효율적이고 집중적으로 그것을 달성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라며 “목표는 어렴풋이 생각만 하고 있기보다는 최대한 구체적으로 정하고 정량화해서 늘 상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라고 조언했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어느 책에서 말한 성공의 요건이였던가. 같은 능력을 지녔더라도 목표의식의 유무의 차이에 따라 능력발휘의 효과는 천차만별이다.
인맥관리사이트 인크루트 인맥(nugu.incruit.com)과 리서치 전문기관 엠브레인(www.embrain.com)은 직장인 2천 149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목표의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체의 72.2%(1,551명)는 직장 내에서 이루고자 하는 뚜렷하고 구체적인 목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7명은 저마다 목표를 세워놓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매진하고 있는 것.
이들이 설정한 목표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전문성 획득".
직장에서 성취하고자 설정한 목표의 종류를 물었더니 전문성 획득(32.2%)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던 것. 커리어 관리의 관점으로도 볼 수 있는 ‘전문성’은 지속적으로 스스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직장인들이 꼽은 것으로 보인다.
이어서 '직장 내 사람들로부터 인정받는 것'(18.4%) '연봉'(17.7%), '직급'(15.9%), '정년까지 다니는 것'(14.6%)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성별로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전문성 획득’이란 목표가 가장 많이 나온 가운데, 남성은 ‘직장 사람들로부터 인정받는 것’(19.1%)과 ‘직급’(17.0%)를 많이 꼽은 반면, 여성은 ‘연봉’(19.8%)을 전문성 획득 다음으로 많이 꼽았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지위, 외적 요건보다는 좀 더 실리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수 있었다.
연령별로는 ‘정년까지 계속 다니는 것’이란 목표가 40대를 기점으로 확연히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대, 30대에서 각각 6.0%와 8.1%에 머물렀던 데 반해, 40대에 들어서면 23.8%로 급격히 증가했고 50대 이상에서는 28.1%에 달했다. 나이가 들수록 고용불안감이 높아져 개인의 가치를 높이고 원하는 보상을 받는 것보다는 직장생활을 오래 영위하는 것 자체를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크루트 인맥 이종목 팀장은 “어떤 곳에서든 구체적인 목표를 정한다는 것은 그만큼 효율적이고 집중적으로 그것을 달성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라며 “목표는 어렴풋이 생각만 하고 있기보다는 최대한 구체적으로 정하고 정량화해서 늘 상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라고 조언했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