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공기업 주도로 국내에도 '탄소배출권'을 사고팔 수 있는 '탄소시장'이 연내 개설된다.

정부는 또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시장 메커니즘을 통해 감축토록 하고 저탄소기술을 개발,세계 친환경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을 마련했다.

정부는 22일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국가에너지위원회 2차 회의를 개최하고 '기후변화 대응 신국가전략'을 확정,발표했다.

산업자원부는 우선 그동안 등록,관리해온 50건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사업을 토대로 연말께 탄소 배출권 시장을 열 방침이다.

이 시장에서는 감축사업 등록을 한 업체들이 배출권 공급자가 되고 1차적으로 한국전력과 6개 발전 자회사,지역난방공사 수자원공사 등 에너지 관련 공기업이 수요자가 된다.

정부와 신재생 에너지 공급협약을 맺은 에너지 공기업들이 협약상 신재생 에너지 공급량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배출권 시장에서 감축 실적을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탄소 배출 가운데 83%가 에너지분야에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에 우선 부담을 지운 것이다.

산자부 관계자는 "이 시장에서 판매가 이뤄지지 않은 배출권은 정부가 올해 확보한 50억원의 예산으로 사들여 시장을 청산하게 된다"고 밝혔다.

산자부는 감축사업을 통해 확보된 배출권의 국내 거래가 이뤄지면 올해 거래규모는 56억원 선이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또 배출권 가운데 국제기준에 맞는 부분(약 1442억원)은 이미 거래되고 있는 배출권(CER)시장이나 시카고 기후거래소(CCX) 등에 수출한다는 계획이다.

정재형 기자 j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