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장 개별 평가 하겠다" … 금감위 '인사 개입' ?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감독위원회가 은행장을 개별적으로 평가하겠다는 방침을 밝히자 은행장들이 떨고 있다.
일각에서는 "금감위가 은행장 인사에까지 개입하려는 것 아니냐"며 '관치(官治) 금융 망령' 부활에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김용덕 금감위원장은 22일 은행장들과의 첫 간담회에서 "성장성뿐만 아니라 수익성과 건전성 등 3박자를 골고루 감안해 은행 및 은행장을 평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금감위 관계자는 은행장을 따로 평가할지에 대해서는 실무적으로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금감위의 은행장 평가방침과 관련,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주식회사인 은행의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평가는 시장과 주주들 몫인데 임면권을 갖고 있지 않은 금융감독당국이 은행장을 평가할 권한이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금융연구원의 김병연 선임연구원은 "금융감독원의 은행 경영실태 평가는 주주들이 경영진을 평가하는 관점과 다르다"고 밝혔다.
감독당국은 은행의 리스크관리,내부통제 시스템 등 공공성과 금융시장의 안정 및 관련 부문을 관리·감독하고 평가하면 될 뿐이지 은행장의 조직관리나 경영전략 등을 평가하는 것은 월권이라는 지적이다.
금융계 한 관계자는 "금감원의 은행 경영실태 평가 기준인 카멜(CAMEL) 방식,즉 자본적정성(Capital Adequacy) 자산건전성(Asset Quality) 경영능력(Management) 수익성(Earnings) 유동성(Liquidity) 등 5개 부문에서 경영능력에 대한 평가를 좀더 강화하겠다는 뜻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금감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은행장에 대해 직접적인 평가를 하겠다는 것은 아니다"며 "은행 경영실태 평가가 곧 은행장 평가로 직결되는 것인 만큼 평가 요소와 기준을 새롭게 마련하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그는 "가령 은행 평가시 해당연도뿐만 아니라 장래 발생가능한 부분까지 함께 고려할 수 있도록 해 장기비전을 갖고 투자한 은행및 은행장들이 보다 정당한 평가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
일각에서는 "금감위가 은행장 인사에까지 개입하려는 것 아니냐"며 '관치(官治) 금융 망령' 부활에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김용덕 금감위원장은 22일 은행장들과의 첫 간담회에서 "성장성뿐만 아니라 수익성과 건전성 등 3박자를 골고루 감안해 은행 및 은행장을 평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금감위 관계자는 은행장을 따로 평가할지에 대해서는 실무적으로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금감위의 은행장 평가방침과 관련,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주식회사인 은행의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평가는 시장과 주주들 몫인데 임면권을 갖고 있지 않은 금융감독당국이 은행장을 평가할 권한이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금융연구원의 김병연 선임연구원은 "금융감독원의 은행 경영실태 평가는 주주들이 경영진을 평가하는 관점과 다르다"고 밝혔다.
감독당국은 은행의 리스크관리,내부통제 시스템 등 공공성과 금융시장의 안정 및 관련 부문을 관리·감독하고 평가하면 될 뿐이지 은행장의 조직관리나 경영전략 등을 평가하는 것은 월권이라는 지적이다.
금융계 한 관계자는 "금감원의 은행 경영실태 평가 기준인 카멜(CAMEL) 방식,즉 자본적정성(Capital Adequacy) 자산건전성(Asset Quality) 경영능력(Management) 수익성(Earnings) 유동성(Liquidity) 등 5개 부문에서 경영능력에 대한 평가를 좀더 강화하겠다는 뜻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금감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은행장에 대해 직접적인 평가를 하겠다는 것은 아니다"며 "은행 경영실태 평가가 곧 은행장 평가로 직결되는 것인 만큼 평가 요소와 기준을 새롭게 마련하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그는 "가령 은행 평가시 해당연도뿐만 아니라 장래 발생가능한 부분까지 함께 고려할 수 있도록 해 장기비전을 갖고 투자한 은행및 은행장들이 보다 정당한 평가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