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 교수에서 해임된 신정아(여·35)씨의 학위 문제가 언론에 보도되기 직전인 지난 7월에 변양균 대통령 비서실 정책실장이 파문 확산을 막기 위해 무마에 나섰던 것으로 23일 밝혀졌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변 정책실장은 동국대 교수이던 신씨의 가짜 학위 의혹을 처음 제기한 장윤(전 동국대 이사) 스님에게 두 차례에 걸쳐 ‘더 이상 문제 삼지 말라’는 취지로 압력성 회유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신씨의 동국대 교수 임용과 광주비엔날레 감독 선임 과정에서도 권력층의 비호가 있었을지 모른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조선일보는 이어 "장윤 스님과 측근, 불교계 인사들에 따르면, 장윤 스님이 6월29일 신씨의 가짜 학위 문제를 처음 공론화한 뒤 3, 4일쯤 지나 변 정책실장이 장윤 스님에게 과테말라에서 국제전화를 걸어 '가만히 있어주면 잘 수습하겠다'고 말했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당시 변 정책실장은 2014년 동계올림픽 평창 유치 지원을 위해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 참석한 노무현 대통령을 수행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변 정책실장은 또 노 대통령이 귀국한 다음날인 7월8일 조선호텔에서 장윤 스님을 만나 “더 이상 (신씨의 가짜 학위를) 문제삼지 말라. 조용히 있으면 적당한 때 동국대 이사직에 복직되도록 하겠다”고 회유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조선일보는 전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는 “아직 확인중”이라고 밝히며 조만간 사실여부 등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신씨 가짜 학위 문제는 7월 8일 이후 본격적으로 전 언론에 보도됐고, 파문이 커지자 신씨는 7월16일 미국으로 출국한 뒤 잠적했다.

또한 신씨의 가짜학위를 문제 삼았던 장윤 스님은 올해 2월 동국대 이사회에서 신씨의 가짜 학력 문제를 제기했다가 5월29일 이사에서 해임됐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