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기자실을 없애려는 정부와 이에 맞선 언론계의 문제 제기가 첨예하게 맞서고 있는 가운데 일선 정부 부처를 담당하는 현장 기자들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외교통상부 출입 기자들은 26일 "국정홍보처장이 직접 나서 취재권 보장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히라"고 요구하며 이날까지 기자실을 비워 달라는 외교통상부의 요구를 거부했다.

대신 외교부와 출입 기자들은 '정부의 취재 접근권 보장 방안'(가칭)을 문서로 만들어 시행하기로 일단 의견 접근을 봤다.

그러나 기자들은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을 밀어붙이고 있는 국정홍보처가 발표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외교부는 국정홍보처로부터 권한을 일임받았다며 나서고 있어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

외교부 출입 기자들은 27일 전체 회의를 갖고 외교부와 대화를 계속할 방침이나 국정홍보처의 입장 표명이 없는 한 돌파구를 만들기는 힘들어 보인다.

국정홍보처는 먼저 외교부부터 기자실과 브리핑룸을 없애고 이를 대신해 17개 부처 통합 브리핑룸으로 개조한다며 수십억원의 예산을 쓰고 있다.

또 기자들과 일선 부처 공무원의 개별 접촉을 제한하고 홍보관리관이나 대변인으로 창구 단일화를 유도하겠다고 해 기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이에 대해 일선 기자들이 취재권 침해라며 항의하자 국정홍보처는 외교부 등 일선 부처에 해결 과제를 떠넘겼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와 관련,26일 "외교부 문제 때문에 기자단의 이동이 막혀 있고 정통부나 다른 부처 출입 기자들이 가세했다"며 난감한 입장을 밝히고 "외교부에 자율권을 줬으니까 외교부가 탄력적으로 대응할 것으로 본다"고 한 발 물러서는 입장을 취했다.

정부의 방안은 청와대와 국정홍보처가 주도해 왔다.

이처럼 국정홍보처가 일선 부처들을 앞세운 채 소극적으로 대응하자 일선 행정부처 기자들의 반발은 조직화되고 있다.

총리실 행정자치부 통일부 교육인적자원부 여성가족부 출입 기자들은 오는 29일 이후 통합 회의를 열어 공동 성명 발표 등에 의견을 모으기로 했다.

한편 한국언론인연합회도 정부 방침에 대해 "언론 탄압 조치를 즉각 중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