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간 국내 '학사 위조' 110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정아 전 동국대 교수의 학력위조 사건이 권력형 스캔들로 비화되며 파문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대학 학사학위가 취업 등을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위조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교육위 유기홍 의원이 28일 경찰청 자료를 분석,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2004년부터 2007년 7월까지 경찰에 적발된 학위 위조범은 168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110명은 국내 대학 학사학위를 위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위 위조 유형은 국내 학사가 110명(65%)으로 가장 많았고 외국박사 50명,외국 학사 7명,국내 박사 1명 등이었다. 학사 위조 대상이 된 대학은 한양대 9명,성균관대 8명,연세대 6명,고려대와 경북대 각각 5명,서울대와 경희대 각각 4명,이화여대 3명 등이었다. 남서울대와 한림대,안양과학대,동의과학대,서원대 등 위조 대학의 폭도 넓었다.
학위 위조 사유는 취업용이 81명(48.2%)으로 절반 가까이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학술진흥재단 제출용 50명(29.8%),건설기술인협회 제출용 2명,진학(편입) 1명,기타 34명이었다. 학위 위조범 국적은 한국이 163명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고 중국 3명,캐나다 2명이었다.
유 의원 측은 "허위 학력이 외국 대학 박사 학위 등에 한정돼 있는 게 아니라 국내 대학 졸업증도 광범위하게 위조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며 "공신력있는 학위검증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국회 교육위 유기홍 의원이 28일 경찰청 자료를 분석,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2004년부터 2007년 7월까지 경찰에 적발된 학위 위조범은 168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110명은 국내 대학 학사학위를 위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위 위조 유형은 국내 학사가 110명(65%)으로 가장 많았고 외국박사 50명,외국 학사 7명,국내 박사 1명 등이었다. 학사 위조 대상이 된 대학은 한양대 9명,성균관대 8명,연세대 6명,고려대와 경북대 각각 5명,서울대와 경희대 각각 4명,이화여대 3명 등이었다. 남서울대와 한림대,안양과학대,동의과학대,서원대 등 위조 대학의 폭도 넓었다.
학위 위조 사유는 취업용이 81명(48.2%)으로 절반 가까이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학술진흥재단 제출용 50명(29.8%),건설기술인협회 제출용 2명,진학(편입) 1명,기타 34명이었다. 학위 위조범 국적은 한국이 163명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고 중국 3명,캐나다 2명이었다.
유 의원 측은 "허위 학력이 외국 대학 박사 학위 등에 한정돼 있는 게 아니라 국내 대학 졸업증도 광범위하게 위조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며 "공신력있는 학위검증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