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교보생명이 추진 중인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쪽으로 방침을 정했다.

재정경제부 고위 관계자는 28일 "정부는 교보생명 증자에 참여하기로 방향을 잡았다"며 "다만 교보생명에서 밝힌 증자 일정은 맞추기 어려워 연기 신청을 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정부가 그동안 민간 기업의 증자에 참여한 사례가 없어서 적합한 자금 조달 방안을 찾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자산관리공사(캠코)도 이날 열린 이사회에서 교보생명 유상증자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캠코는 407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참여 자금을 부실채권정리기금의 여유자금으로 충당한다는 계획이다.

캠코 관계자는 "유상증자 참여에 따른 손익을 비교한 결과 참여하는 게 낫겠다는 판단을 내렸다"며 "교보생명이 상장되면 매각차익을 볼 게 뻔한 상황에서 유상증자에 참여하지 않는 것은 주주로서 배임이나 다름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정부와 캠코는 이달 초 교보생명이 이사회를 열어 기존 주주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방식으로 3700억원의 유상증자를 하기로 결의하자 그동안 유상증자 참여 여부를 고민해 왔다.

교보생명은 현재 신창재 회장(37.26%)과 특수관계인(15.75%)이 53.02%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고 캠코가 41.48%의 지분을 관리하고 있다.

캠코가 관리 중인 지분에는 2003년 교보생명 창립자인 신용호 회장이 타계한 뒤 신창재 회장 등 유족들이 상속세로 정부에 물납한 교보생명 주식 6.48%와 대우인터내셔널이 갖고 있는 지분 24.0% 등이 포함돼 있다.

한편 교보생명은 주주의 증자 연기 요청과 관련,이사회 결정 사안인 만큼 신중하게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