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 34.6%는 내년부터 시행되는 기초노령연금제도가 노후생활을 대비하는데 큰 도움을 주지 못할 것으로 여긴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보건복지부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을 통해 전국 30세 이상 성인남녀 1천명(30∼59세 600명, 60세 이상 400명)을 대상으로 7월2∼9일 실시한 기초노령연금제도 인식 및 태도 조사결과를 29일 발표했다.

기초노령연금제도는 2008년부터 우선 전체 65세 이상 노인 60%에게 매달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 월 평균소득의 최대 5%(최대 9만 원 정도)의 연금을 주되, 2028년까지 지급액수를 10%로 올리고, 2009년에는 연금수급 대상자도 65세 이상 전체 노인의 70%로 확대하는 것을 골자로 한 노후생활보장제도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기초노령연금제도가 노후생활에 미칠 영향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41.3%는 `노후 생활비 마련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는 반응을 보인 반면, 24.1%는 `보통', 34.6%는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소득수준별로는 100만 원 미만에서는 70%대가 자신의 노후생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는 반면 300만 원 이상에서는 20%안팎만 노후생활비 마련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전체 응답자중 65세 이상 노인만을 골라 자신이 기초노령연금 지급대상자로 선정될 가능성을 질문한 결과, 48.4%는 선정될 가능성에, 19.3%는 탈락할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나머지 32.3%는 `잘 모르겠다'고 대답했다.

아울러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이 없는 65세 이하 응답자를 대상으로 이 제도 도입에 따른 세금부담증가에 대한 태도를 알아본 결과, 62.5%가 국가차원에서 추진하는 제도인데다 개인적인 혜택이 있어 정부세금 등의 부담을 `받아들이겠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복지부는 이 조사결과를 오는 10월15일부터 실시되는 기초노령연금 대상자 선정을 위한 신청ㆍ접수 안내 대국민 홍보업무에 활용할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sh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