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부처 공무원의 인사기록을 총괄하고 있는 중앙인사위원회는 30일 중앙부처 공무원의 학력과 자격증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전 공무원을 대상으로 검증 작업에 착수했다.

서울시와 지방자치단체에 이어 중앙부처 공무원에 대해서도 검증 작업이 시작됨에 따라 전체 공무원이 '신정아 학력위조 사건'의 영향권에 들게 됐다.

중앙인사위원회는 이를 위해 중앙공무원 24만여명의 인사기록 카드에 기록된 학력과 자격증 등 인사 항목에 대해 진위를 검증해 보라는 공문을 18부4처17청에 일제히 발송했다.

이번 공문 발송은 내년부터 중앙공무원의 인사기록이 '종이 인사기록카드' 방식에서 '전자 인사기록'으로 완전히 전환되는 데 맞춰 공무원의 학력 및 자격증 위조 여부를 가려보겠다는 조치로 풀이된다.

안양호 중앙인사위 인사정책국장은 "학력이나 자격증 위조 파문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앙공무원이 먼저 모범을 보여야 하는 만큼 전체 중앙공무원의 학력과 자격증 등 인사기록의 모든 항목에 대해 진위 여부를 검증할 필요가 생겼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 말까지 전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인사기록을 일제히 점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앙인사위는 공무원 공채의 경우 '특정학력 이상' 등의 조건을 요구하지 않고 있는 만큼 학력이나 자격증 위조는 사실상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인사위는 그러나 검증 과정에서 허위 기재나 허위 기록 제출 등의 혐의가 있는 공무원에 대해선 재심 등의 과정을 거쳐 인사 조치할 방침이다.

인사위는 공무원의 '종이 인사기록 카드'를 내년부터 '전자 인사기록'으로 바꾸기로 했다.

안 국장은 "이번 일제 인사 검증은 공직사회가 학력 위조 파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동시에 새로운 인사기록 방식의 도입을 동시에 감안해 진행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서울시는 170점인 토익 영어점수를 770점으로 위조한 뒤 승진한 사건이 발생하자 전 직원들을 대상으로 학력 및 자격증 검증작업에 들어갔다.

부산시도 서울시의 영어점수 위조 사건을 계기로 소속 공무원과 산하 기관 직원들의 학위와 자격증에 대한 검증 작업에 나선 상태다.

중앙공무원 학력 검증 조치를 불러온 '신정아 학력 위조 사건'은 신정아 전 동국대 교수가 지난 7월 초 광주비엔날레 감독으로 선임된 뒤 미국 예일대 박사 출신이 아니라는 사실이 본격 보도되면서 불거졌다.

연극인 윤석화씨,동숭아트센터 김옥랑 대표,건축가 이창하씨 등 주요 인사들이 학력 위조에 휘말렸다.

고기완 기자 dad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