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경쟁시대 직장내 동료는 더이상 '내편'만은 아니다. 이런 무한경쟁시대에 꾸준한 자기계발로 자신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필수. 하지만 열심히 자기계발을 하는 직장인이라고 하여 이들이 모두 직장내 필요한 '인재'는 아니다.

자신의 노력에 대한 유무를 떠나, 사람이 하는 일이 언제나 공정하지는 않기 때문에 자신의 능력보다 더 많이 인정받는 '거품인재'들로 기운빠지는 직장인들도 흔하게 발견할 수 있다.

열심히 일하는 직장인의 기운을 빠지게 하는 거품인재, 얼마나 있을까?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이 직장인 836명을 대상으로 주변에 능력에 비해 과대평가 받는 거품인재가 있는지를 물어본 결과 66.7%가 ‘있다’라고 응답했다.

거품인재가 가장 많은 직급은 ‘과장급’(32.4%)이었으며, ‘대리급’(22.6%), ‘부장급’(18.6%), ‘임원진’(15.6%), ‘평사원’(10.8%) 순으로 나타났다.

거품인재의 유형(복수응답)으로는 ‘성과를 가로채는 얌체 유형’이 38%로 가장 많았다. 그 외에 ‘화술이 뛰어난 유형’(34.1%), ‘배경이 좋은 낙하산 유형’(32.4%), ‘대인관계가 좋은 유형’(20.4%), ‘학벌이 좋은 유형’(18.1%)등이 있었다.

거품인재가 생긴 원인으로는 36.4%가 ‘학벌, 학력 지상주의’를 꼽았다. 다음으로 ‘객관적 업무평가 시스템이 없어서’(26.7%), ‘인맥으로 평가하기 때문에’(17.5%), ‘하나의 성과로 섣불리 판단하는 태도’(9%), ‘개개인의 평가보다 집단 평가의 착오’(6.3%)등의 순으로 집계되었다.

이런 거품인재를 보면서 드는 생각으로는 41.9%가 ‘업무 의욕이 떨어진다’를 선택했다. 또한, ‘언젠가는 실력이 드러날 것이다’(28.1%), ‘과대평가 받는 이유가 궁금하다’(16.8%), ‘별생각 하지 않는다’(5.2%), ‘부럽다’(3.6%) 등의 의견도 있었다.

거품인재가 되지 않기 위해 하는 노력으로는 ‘끊임없는 자기계발을 한다’라는 응답이 39.1%로 가장 많았다. 이 밖에 ‘업무능력을 키운다’(27%), ‘항상 겸손하게 행동한다’(12.7%), ‘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11.1%), ‘특별히 노력하지 않는다’(6.1%) 등이 있었다.

한편, 자신이 거품인재인지를 묻는 질문에는 무려 92.3%가 ‘아니오’라고 답했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