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재건축아파트 시장이 이달부터 시행에 들어간 분양가 상한제로 숨을 죽이고 있다.

특히 사업 초기단계에 있는 강남지역 주요 재건축 단지들은 거래가 끊긴 가운데 가격움직임을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아파트 소유주들은 연말 대선 이후 분양가 상한제가 완화될 것이란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는 반면 수요자들은 집값 추가 하락을 예상하고 있어 현재의 호가가 떨어지지 않는 한 관망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3일 현지 중개업계에 따르면 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는 지난 7월 제2롯데월드 건립 계획이 무산된 후 약세를 보이다 지난달부터는 거래와 가격 모두 변동이 없는 소강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한때 12억원까지 올랐던 112㎡(34평)형은 7월 말 11억5000만~11억8000만원 선에 거래된 이후 지난달 초부터 11억9000만원 수준의 호가를 유지하고 있다.

인근 박준공인중개사 관계자는 "주택 소유자들이 대선 이후 분양가 상한제와 양도세 규제완화를 기대하면서 호가를 내리지 않아 단지 전체적으로 급매물이 1개밖에 나와있지 않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에 반해 수요자들은 분양가 상한제 시행과 올 하반기 만료되는 은행권이 처분조건부 대출로 가격이 더 떨어질 것이라는 기대가 강해 거래가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강남구 개포 주공1단지도 사정이 비슷하다.

지난 7월 한때 강세를 보였던 36㎡(11평),43㎡(13평)형 등 소형과 중·대형 아파트 모두 가격 변동이 없다.

대치동 은마아파트 102㎡(31평)형은 10억~10억5000만원,112㎡(34평)형은 12억~12억5000만원 선을 유지하고 있으나,매수자들은 4000만~5000만원은 더 싸야 사겠다는 태도여서 거래없는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