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4일자) 3년만의 최고 성장률 이어가려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4분기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은 반가운 소식이다.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2분기 GDP는 전분기보다 1.8% 증가해 2003년 4·4분기(2.7%)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도 5.0%에 이르러 경기 회복세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는 기대를 갖게 한다.
세부 지표를 살펴봐도 경기회복의 본격화를 시사하는 것들이 적지 않다.
특히 전분기 마이너스 성장(-0.9%)에 머물렀던 제조업이 반도체 조선 승용차 등의 호조에 힘입어 3.6% 성장세로 돌아선 데다 수출이 두자릿수 증가율을 이어가고 있는 점이 긍정적이다.
실질 국민총소득(GNI) 성장률이 2.2%를 기록하며 오랜만에 경제성장률을 앞선 것도 체감경기의 호전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경기회복을 낙관(樂觀)하기는 여전히 이른 것 같다.
무엇보다 내수경기가 좀처럼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는 점이 부담스럽다.
민간소비 지출 증가율은 지난해 2분기 이후 소폭이나마 상승세를 이어왔지만 이번엔 0.8% 증가에 그쳐 전분기(1.5%) 대비 절반수준으로 내려앉았다.
건설투자가 1.3% 감소하고 설비투자는 3.4% 증가에 그치는 등 투자활동도 여전히 부진하다.
게다가 수출호조에도 불구하고 환율하락의 영향으로 실질무역손실규모가 갈수록 늘고 있어 우려를 크게 한다.
지표경기는 좋아졌지만 체감경기는 여전히 싸늘한 편이라는 분석이 그래서 더욱 설득력(說得力)을 갖는다.
우리 경제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 역시 녹록한 편이 못된다.
특히 미국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 사태는 미국은 물론 세계경제 전체의 성장률을 끌어내리는 파급영향을 몰고올 가능성이 적지 않다.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또한 장기적으로는 환율상승으로 연결되면서 우리의 대외경쟁력을 향상시키겠지만 급격히 진행될 경우 금융시장을 뒤흔들며 경제에도 큰 충격을 미칠 게 틀림없다.
따라서 정부는 유연한 정책으로 국제금융시장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함으로써 모처럼의 경기회복 무드가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특히 강조해 두고 싶은 것은 결코 정책의 일관성을 잃어선 안된다는 점이다.
만에 하나 대선을 의식해 선심성 정책을 남발하는 일이 일어난다면 경제기조가 크게 흐트러지는 것은 물론 두고두고 후유증에 시달리게 될 것이다.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2분기 GDP는 전분기보다 1.8% 증가해 2003년 4·4분기(2.7%)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도 5.0%에 이르러 경기 회복세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는 기대를 갖게 한다.
세부 지표를 살펴봐도 경기회복의 본격화를 시사하는 것들이 적지 않다.
특히 전분기 마이너스 성장(-0.9%)에 머물렀던 제조업이 반도체 조선 승용차 등의 호조에 힘입어 3.6% 성장세로 돌아선 데다 수출이 두자릿수 증가율을 이어가고 있는 점이 긍정적이다.
실질 국민총소득(GNI) 성장률이 2.2%를 기록하며 오랜만에 경제성장률을 앞선 것도 체감경기의 호전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경기회복을 낙관(樂觀)하기는 여전히 이른 것 같다.
무엇보다 내수경기가 좀처럼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는 점이 부담스럽다.
민간소비 지출 증가율은 지난해 2분기 이후 소폭이나마 상승세를 이어왔지만 이번엔 0.8% 증가에 그쳐 전분기(1.5%) 대비 절반수준으로 내려앉았다.
건설투자가 1.3% 감소하고 설비투자는 3.4% 증가에 그치는 등 투자활동도 여전히 부진하다.
게다가 수출호조에도 불구하고 환율하락의 영향으로 실질무역손실규모가 갈수록 늘고 있어 우려를 크게 한다.
지표경기는 좋아졌지만 체감경기는 여전히 싸늘한 편이라는 분석이 그래서 더욱 설득력(說得力)을 갖는다.
우리 경제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 역시 녹록한 편이 못된다.
특히 미국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 사태는 미국은 물론 세계경제 전체의 성장률을 끌어내리는 파급영향을 몰고올 가능성이 적지 않다.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또한 장기적으로는 환율상승으로 연결되면서 우리의 대외경쟁력을 향상시키겠지만 급격히 진행될 경우 금융시장을 뒤흔들며 경제에도 큰 충격을 미칠 게 틀림없다.
따라서 정부는 유연한 정책으로 국제금융시장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함으로써 모처럼의 경기회복 무드가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특히 강조해 두고 싶은 것은 결코 정책의 일관성을 잃어선 안된다는 점이다.
만에 하나 대선을 의식해 선심성 정책을 남발하는 일이 일어난다면 경제기조가 크게 흐트러지는 것은 물론 두고두고 후유증에 시달리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