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수출 증가ㆍ바이오 시장 진출로 고성장 기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투자증권이 한미약품에 대해 '매수' 의견과 목표가 18만5000원을 유지했다.
신공장 완공으로 항생제 완제 의약품 수출이 확대될 예정이며, 바이오 의약품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어서 현재의 고성장세를 중장기적으로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권해순 연구원은 "평택 신공장 내 세파 플랜트가 KGMP(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인증을 받아 지난달 24일부터 본격적으로 세파계 항생제 완제 의약품 생산에 들어갔다"며 "해외 의약품 시장 진출을 위한 기본 생산설비가 갖춰졌다"고 평가했다.
현재까지 수출부문은 자회사 한미정밀화학에서 생산된 항생제 원료 의약품을 수출 대행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이익기여도가 낮았으나, 향후에는 부가가치가 높은 완제 의약품을 생산, 수출할 예정이어서 기여도가 커질 것으로 권 연구원은 내다봤다.
올해 하반기 연구개발 성과 가시화도 주목할 만한 점이라고 말했다.
EPO(빈혈 치료제), GCSF(항암치료 보조제), hGH(왜소증 치료제) 등 블록버스터 단백질 의약품들의 체내 반감기를 늘려 투약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 기술을 확보, 전임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는 설명.
권 연구원은 "다수의 해외 제약사들이 이 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한미약품이 올해 안에 해외 제약사에 관련 기술의 일부를 이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문정현 기자 mjh@hankyung.com
신공장 완공으로 항생제 완제 의약품 수출이 확대될 예정이며, 바이오 의약품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어서 현재의 고성장세를 중장기적으로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권해순 연구원은 "평택 신공장 내 세파 플랜트가 KGMP(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인증을 받아 지난달 24일부터 본격적으로 세파계 항생제 완제 의약품 생산에 들어갔다"며 "해외 의약품 시장 진출을 위한 기본 생산설비가 갖춰졌다"고 평가했다.
현재까지 수출부문은 자회사 한미정밀화학에서 생산된 항생제 원료 의약품을 수출 대행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이익기여도가 낮았으나, 향후에는 부가가치가 높은 완제 의약품을 생산, 수출할 예정이어서 기여도가 커질 것으로 권 연구원은 내다봤다.
올해 하반기 연구개발 성과 가시화도 주목할 만한 점이라고 말했다.
EPO(빈혈 치료제), GCSF(항암치료 보조제), hGH(왜소증 치료제) 등 블록버스터 단백질 의약품들의 체내 반감기를 늘려 투약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 기술을 확보, 전임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는 설명.
권 연구원은 "다수의 해외 제약사들이 이 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한미약품이 올해 안에 해외 제약사에 관련 기술의 일부를 이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문정현 기자 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