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무파업 합의.. 사측의 득실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4일 현대차 노사가 10년 만에 파업을 하지 않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에 5일 증시 안팎에서 환영의 목소리가 높다.
그러나 이미지 제고나 펀더멘털 개선 같은 원론적인 의미를 넘어, 냉정하게 수치로 따져본 현대차의 득실에 대해서는 엇갈린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번 현대차 노사의 합의안은 본교섭 합의 내용은 △임금 8만4000원 인상 △성과급 300%△격려금 200만원 △상여금 50% 추가지급(기존 700%) △시간외수당 3% 인상 △정년 59세로 1년 연장 △2008년 10월 전주공장 주간 연속 2교대 시범실시 △10월말 무상주 30주 지급 등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임금인상안과 격려금 지급 규모가 예상보다 크다며 회사측 비용부담이 높아진 것을 우려하고 있다.
김재우 미래에셋증권 애널리스트는 “3만1000여명에 달하는 생산직 인원에 격려금 200만원과 성과금 300%, 상여금 50% 추가, 무상주 30주 등을 지급하면 올해 예상 순이익 1조5900억원의 20%가 넘는 3700억원의 1회성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고 계산했다.
따라서 높아진 비용부담을 극복할 수 있는 중장기적 생산성 개선 로드맵이 나와야 한다고 판단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미국과 중국에서의 부진이 지속되는 상황이라 현대차가 갈 길이 멀다는 의견이다.
반면 삼성증권은 회사측이 남는 장사를 했다고 판단했다.
삼성증권은 이번 합의로 상용차 공장의 생산 시간이 기존 하루 20시간에서 16시간으로 줄어들겠지만 생산성은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금희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임단협 결과가 회사측에 불리해 보일 수도 있지만, 잔업 관련 비용이 매우 높다는 것을 고려하면 임금협상안은 결과적으로 회사에게 유리하다”고 해석했다.
생산시간은 줄어도 생산성이 나빠지지 않고, 잔업에 따른 회사측 비용이 감소하는 만큼 손해보는 협상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아울러 현대차 노조가 구조적으로 힘을 잃어가고 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한 애널리스트는 “지난해 한 달 가까이 파업했는데도 임금인상은 5.7%에 그쳤다”며 “현대차는 현재 수출의 반을 현지에서 생산하는 체제라, 한국공장 노조는 큰 세력을 유지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했다.
한경닷컴 이혜경 기자 vixen@hankyung.com
그러나 이미지 제고나 펀더멘털 개선 같은 원론적인 의미를 넘어, 냉정하게 수치로 따져본 현대차의 득실에 대해서는 엇갈린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번 현대차 노사의 합의안은 본교섭 합의 내용은 △임금 8만4000원 인상 △성과급 300%△격려금 200만원 △상여금 50% 추가지급(기존 700%) △시간외수당 3% 인상 △정년 59세로 1년 연장 △2008년 10월 전주공장 주간 연속 2교대 시범실시 △10월말 무상주 30주 지급 등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임금인상안과 격려금 지급 규모가 예상보다 크다며 회사측 비용부담이 높아진 것을 우려하고 있다.
김재우 미래에셋증권 애널리스트는 “3만1000여명에 달하는 생산직 인원에 격려금 200만원과 성과금 300%, 상여금 50% 추가, 무상주 30주 등을 지급하면 올해 예상 순이익 1조5900억원의 20%가 넘는 3700억원의 1회성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고 계산했다.
따라서 높아진 비용부담을 극복할 수 있는 중장기적 생산성 개선 로드맵이 나와야 한다고 판단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미국과 중국에서의 부진이 지속되는 상황이라 현대차가 갈 길이 멀다는 의견이다.
반면 삼성증권은 회사측이 남는 장사를 했다고 판단했다.
삼성증권은 이번 합의로 상용차 공장의 생산 시간이 기존 하루 20시간에서 16시간으로 줄어들겠지만 생산성은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금희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임단협 결과가 회사측에 불리해 보일 수도 있지만, 잔업 관련 비용이 매우 높다는 것을 고려하면 임금협상안은 결과적으로 회사에게 유리하다”고 해석했다.
생산시간은 줄어도 생산성이 나빠지지 않고, 잔업에 따른 회사측 비용이 감소하는 만큼 손해보는 협상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아울러 현대차 노조가 구조적으로 힘을 잃어가고 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한 애널리스트는 “지난해 한 달 가까이 파업했는데도 임금인상은 5.7%에 그쳤다”며 “현대차는 현재 수출의 반을 현지에서 생산하는 체제라, 한국공장 노조는 큰 세력을 유지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했다.
한경닷컴 이혜경 기자 vix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