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참여를 통한 흥행을 목표로 한 대통합민주신당의 경선이 흔들리고 있다.

경선 선거인단 모집과정서 유령선거인단 파동과 당의 약칭(민주신당)에 대한 '짝퉁 판결'에 이어 급기야 집계오류로 예비경선 4,5위 후보의 순위가 뒤바뀌는 어처구니 없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국민 경선위는 6일 국민에게 사과했다.

지난주 오충일 대표가 유령선거인단 파동 때 고개를 떨군 데 이어 일주일 새 벌써 두 번째다.

잇단 악재에 '날림경선'이라는 비판과 함께 흥행몰이라는 당초 취지는 무색해졌다.

자연 인책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예비경선 무엇이 문제였나=무엇보다 1인2표제 도입을 꼽는다.

과거 복수의 지도부를 선출할 때 채택했던 1인2표제는 대통령 후보 1명을 뽑는 선거에는 맞지 않는다는 게 대체적 견해다.

지지하는 후보 한 명이 아니라 선호 후보 두 명을 대답하게 함으로써 후보 간 변별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점에서다.

후보 간 연대를 가능케 해 특정후보에 대한 배제투표로 이어질 공산도 크다.

여러모로 민심을 왜곡할 소지가 다분하다는 것이다.

선거인단의 지역제한을 두지 않아 일부 지역의 편중 현상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민심과의 괴리를 가져올 수 있다.

유령선거인단이 32%나 됐고 이를 걸러내고 뽑은 1만명의 선거인단 중에서도 전화연락이 닿지 않거나(18%),아예 결번(9.3%)인 경우가 27%에 달한 것도 대리접수 허용에 따른 무차별 동원의 폐혜로 지적된다.

◆후폭풍=순위가 뒤바뀐 중대한 사안을 대표에게 보고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지면서 인책론이 제기되는 등 후폭풍이 불고있다.

이목희 경선위 집행위원장은 "일반국민 여론조사 득표율을 환산하면서 잘못된 숫자를 곱한 오류가 있어서 어려운 문제가 생겼다"며 "실무적 착오라 할지라도 이런 사고는 있어서는 안 되며,당원과 선거인단,국민 여러분께 충심으로 사죄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이번 경선과정에 대한 전면적인 감사와 책임자 문책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득표순위가 5위에서 4위로 수정된 유시민 후보는 "일어나지 말았어야 할 일이 일어났고,당이 망신을 당한 것도 맞다"면서 "경선 전 과정에 대한 당내 감사가 필요하고 책임져야 할 사람은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대화 대표 비서실장도 "어젯 밤 경선위에서 오충일 대표에게 순위와 득표율 발표,순위 수정 등에 대한 보고조차 없었다"면서 "이 정도면 신뢰성이 떨어지고 관리능력에 심각한 문제를 드러낸 것으로,경위를 물어보는 수준에서는 안 될 것 같다"고 문책론에 힘을 실었다.

일각에서는 경선관리 차원을 넘어 당의 컨트롤타워와 리더십의 부재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대부분의 의원이 각 후보 캠프에 앞다퉈 줄서기를 하다보니 당의 중심을 잡아줄 리더십이 실종됐다는 것이다.

오 대표에 대한 보고건이 상징적인 예다.

이재창/노경목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