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쌓이는데 … 주택사업 인허가 급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분양 주택이 외환위기 이후 최대인 9만가구에 육박하고 있는 가운데 건설업체들이 분양가 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미리 받은 주택사업 인허가가 급증하고 있다.
6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민간 건설업체들이 지난 7월 한 달 동안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짓기 위해 지자체의 인허가를 받은 물량은 전국적으로 4만4421가구(주상복합 포함)로 올 들어 월간기준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전월(2만2137가구)의 2배를 넘는 물량으로 작년 7월(5만3582가구) 이후 12개월 만의 최대치다.
건설업체들이 8월 말까지 사업승인을 신청할 경우 분양가 상한제를 피할 수 있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1만964가구로 가장 많고 △부산 9678가구 △서울 7034가구 △울산 4248가구 △경북 3482가구 △충남 1856가구 △광주 1559가구 △경남 1429가구 등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주택사업 인허가가 급증한 것은 업체들이 분양가 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분양을 서두르고 있기 때문이다.
통상 주택사업승인 이후 분양가 승인신청까지 2∼3개월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7월 승인 물량은 11월 말까지는 분양가 신청이 가능해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지 않고 분양할 수 있다.
건설업계에서는 8월에도 주택사업 승인신청이 몰린 점을 고려할 때 8∼9월에 인허가를 받을 물량이 6만∼8만가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미 미분양 주택이 지난 6월 말 현재 9만가구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향후 신규 분양이 이어질 경우 미분양 물량은 더 늘어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김문권 기자 mkkim@hankyung.com
6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민간 건설업체들이 지난 7월 한 달 동안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짓기 위해 지자체의 인허가를 받은 물량은 전국적으로 4만4421가구(주상복합 포함)로 올 들어 월간기준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전월(2만2137가구)의 2배를 넘는 물량으로 작년 7월(5만3582가구) 이후 12개월 만의 최대치다.
건설업체들이 8월 말까지 사업승인을 신청할 경우 분양가 상한제를 피할 수 있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1만964가구로 가장 많고 △부산 9678가구 △서울 7034가구 △울산 4248가구 △경북 3482가구 △충남 1856가구 △광주 1559가구 △경남 1429가구 등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주택사업 인허가가 급증한 것은 업체들이 분양가 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분양을 서두르고 있기 때문이다.
통상 주택사업승인 이후 분양가 승인신청까지 2∼3개월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7월 승인 물량은 11월 말까지는 분양가 신청이 가능해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지 않고 분양할 수 있다.
건설업계에서는 8월에도 주택사업 승인신청이 몰린 점을 고려할 때 8∼9월에 인허가를 받을 물량이 6만∼8만가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미 미분양 주택이 지난 6월 말 현재 9만가구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향후 신규 분양이 이어질 경우 미분양 물량은 더 늘어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김문권 기자 m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