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자.건교 빠지고 과기.복지 포함

정부는 다음 달 2일부터 4일까지 평양에서 열리는 제2차 남북 정상회담 공식수행원 13명의 명단을 7일 발표했다.

각 행정부처에서는 권오규 부총리 겸 재경부 장관,김우식 부총리 겸 과기부 장관,이재정 통일,김장수 국방,임상규 농림,변재진 보건복지,김만복 국가정보원장이,청와대에서는 변양균 정책실장,백종천 외교안보실장,염상국 경호실장,천호선 대변인,오상호 의전비서관,조명균 안보정책비서관이 노무현 대통령을 수행한다.

이 같은 공식수행원 규모는 2000년 1차 정상회담 때 10명에 비해 3명이 늘어난 것인 데다 재경부는 물론 과기부,농림부,복지부 장관 등 7명의 장관이 포함돼 관심이 쏠리고 있다.

1차 회담 때는 이헌재 재경,박재규 통일,박지원 문화관광 등 장관 중에서는 3명만이 참석했다.

경제,정치,여성,사회문화 4개 분야의 40여명으로 구성될 특별수행원 명단은 다음 주 초 발표된다.

이들과 북측 해당 인사들의 간담회도 추진된다.

정부는 2차 남북 정상회담이 무엇보다 '한반도 경제공동체' 추진에 상당한 무게를 실을 것임을 줄곧 내비쳐 왔다.

북측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통해 남측이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로 남북 간 경제협력을 한 단계 발전시켜 궁극적으로는 남북 경제공동체를 형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북측의 도로 항만 철도 등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를 선행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당연히 실무부처인 산업자원부와 건설교통부 장관이 공식수행원 명단에 포함되리라고 예상됐다.

이들이 빠진데 대해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그간 남북 경제협력추진위원회 수석대표로 재경부 차관이 총괄적으로 참여했다"는 점을 들면서 "정상회담에서도 재경부 장관이 경제 관련 의제를 총괄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다음 주 초 발표할 특별수행원에 북한 경제개발과 투자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재계 인사가 포함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장관은 "공식수행원들이 정상회담 의제와 직접 관련된 부처"라고 언급하면서도 과기,농림,복지,국방 장관이 수행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단지 "회담 중 나올 수 있는 여러 가지 분야를 보좌할 수 있기 위해서"라고 얼버무렸다.

따라서 해당 부처와 관련된 구체적인 개별단위의 대북지원 논의가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농림부의 경우 식량난에 허덕이는 북측의 농업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농업기술을 전수하는 등의 방안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

농업기술은 단순히 쌀을 지원하는 차원을 넘어 '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 준다는 차원이다.

1차 정상회담 이후 한 차례만 열렸던 남북 농업협력위원회 회의의 활성화도 포함될 수 있다.

과기부 역시 북한이 경제 재건을 위해 가장 신경쓰고 있는 분야가 과학기술이라는 점에서 협력방안이 고려될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는 시민단체와 국제기구 위주로 소규모로 진행되고 있는 북한 영유아 지원사업 등의 확대를 추진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국방부 장관의 방북은 서해 북방한계선(NLL) 재설정 문제를 비롯한 남북 간 군사적 긴장완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