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펀드 유입액-주식 순매수액' 투신권 잉여 유동자금 급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식을 사지 않고 유동자금으로 굴리고 있는 투신권의 잉여 유동자금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국내 주식형펀드로 꾸준히 자금이 들어오고 있으나 투신사(자산운용사)들이 주식을 적극적으로 사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향후 증시 전망을 가늠하기 어렵다는 게 주 요인으로 꼽힌다.
17일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일정 기간 국내 주식형펀드로 유입된 자금에서 실제 투신권이 순매수한 금액을 뺀 잉여 유동자금 규모는 △지난 8월23~29일 6459억원 △8월30일~9월5일 1조2386억원 △9월6~12일 2879억원으로 집계됐다.
최근 3주간 투신권으로 자금 유입이 이어졌지만 기관들은 적극적으로 주식 매수에 나서지 않았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투신권의 잉여 유동자금은 8월 초 중순엔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지난달 초부터 중순까지 기관들은 적극적으로 주식을 사들였다.
실제 지난 8월9~14일 기관들의 잉여 유동자금은 -3414억원이었고 8월15~22일 동안에는 -3800억원을 기록했다.
해당 기간 기관들은 주식형펀드로 유입된 자금 규모보다 더 많이 주식을 사들였던 것이다.
이와 관련,업계 관계자는 "기관들은 지난 8월 초 급락장에서 주식을 공격적으로 사들였지만 이달 들어 주가가 회복되면서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서지 않고 있다"며 "미국 금리 정책과 고유가 등 외부 환경의 불투명성이 커지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남국 기자 nkkim@hankyung.com
국내 주식형펀드로 꾸준히 자금이 들어오고 있으나 투신사(자산운용사)들이 주식을 적극적으로 사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향후 증시 전망을 가늠하기 어렵다는 게 주 요인으로 꼽힌다.
17일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일정 기간 국내 주식형펀드로 유입된 자금에서 실제 투신권이 순매수한 금액을 뺀 잉여 유동자금 규모는 △지난 8월23~29일 6459억원 △8월30일~9월5일 1조2386억원 △9월6~12일 2879억원으로 집계됐다.
최근 3주간 투신권으로 자금 유입이 이어졌지만 기관들은 적극적으로 주식 매수에 나서지 않았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투신권의 잉여 유동자금은 8월 초 중순엔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지난달 초부터 중순까지 기관들은 적극적으로 주식을 사들였다.
실제 지난 8월9~14일 기관들의 잉여 유동자금은 -3414억원이었고 8월15~22일 동안에는 -3800억원을 기록했다.
해당 기간 기관들은 주식형펀드로 유입된 자금 규모보다 더 많이 주식을 사들였던 것이다.
이와 관련,업계 관계자는 "기관들은 지난 8월 초 급락장에서 주식을 공격적으로 사들였지만 이달 들어 주가가 회복되면서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서지 않고 있다"며 "미국 금리 정책과 고유가 등 외부 환경의 불투명성이 커지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남국 기자 n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