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운하 구간 40㎞ 불과"..친환경명칭 고민

한나라당 이명박(李明博) 대선후보가 자신의 제1공약인 `한반도 대운하'의 명칭을 놓고 고민에 빠졌다.

대운하를 둘러싼 논란의 대부분이 환경문제에 관한 것으로, 이는 상당부분 이름이 주는 토목.건설 이미지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 차제에 '개명(改名)'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
당 핵심 관계자는 19일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대운하 공약은 처음부터 명칭에 문제가 있었다"면서 "경부운하의 경우 한강과 낙동강을 연결하면서 일부 구간에 인공운하를 건설하는 것인데 모든 구간이 운하인 것처럼 오해될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 한반도 대운하의 최장 구간인 경부운하의 경우 총연장 540㎞ 가운데 인공운하 건설 구간은 조령 인근 약 40㎞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한강과 낙동강의 하상을 정리하고 주변지역을 개발하는 사업이나 명칭만으로만 보면 540㎞ 전체가 운하인 것처럼 오해될 수 있다는 게 이 후보측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당 일류국가비전위원회 김형오 위원장도 "대운하는 경제적 효용보다는 오히려 환경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나 초기단계 마케팅과 홍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특히 명칭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같은 지적에 따라 이 후보측은 `인공수로'를 뜻하는 `운하(canal)' 대신 '뱃길살리기' '물길잇기' 등 몇몇 친환경적인 공약명을 놓고 변경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내륙운하가 발달해 있는 유럽의 경우 `운하'라는 용어 대신 `내륙수로(Inland Waterway)'라는 이름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도 공약명칭 변경의 필요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6월말 본격적 대권행보를 시작한 이후 1년여 사용해온 '대운하'라는 공약명을 바꾸는 것도 이 후보로서는 간단한 일이 아니다.

이미 국민에게 널리 알려져 대표 공약으로 자리를 잡은데다 섣불리 고칠 경우 뭔가 약점이 있기 때문이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를 받을 수 있기 때문.
이 후보의 외곽정책자문기구인 국제전략연구원(GSI) 김영우 정책국장은 "공약명을 갑자기 바꾸기보다는 `물길잇기' 등을 병행 사용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면서 "아울러 앞으로는 환경친화적인 사업이라는 점을 집중 부각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 경선캠프에서 한반도대운하추진본부장을 맡았던 박승환 의원은 "내부적으로 명칭 변경 필요성에 대한 논의도 있고 국민공모를 하자는 의견도 있었다"면서 "다만 공약 명칭을 바꾼다고 정치적 공세가 사라지지 않는 것은 물론 오히려 더 논쟁의 빌미가 될 수 있다는 게 고민"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승관 기자 huma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