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조합에 대한 국민의 태도가 10여년 만에 매우 부정적으로 바뀌고 있다.

국민들은 근로자의 처우가 과거에 비해 크게 나아졌는데도 불구하고 노조가 지나치게 자기 이익만을 앞세우는 것으로 평가했다.

또 노조의 임금 인상 요구가 지나치며 경제성장을 위해 노조활동을 자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사실은 한국노동연구원 오계택 부연구위원이 최근 국민 2000명을 대상으로 노조활동에 대한 의식조사를 실시,1989년(당시 1500명 설문) 의식조사와 비교한 결과 밝혀졌다.

오 부연구위원은 19일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열린 노동연구원 개원 19주년 기념 토론회에서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담은 '의식으로 본 노동 20년'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은 근로자들이 사업주들로부터 비교적 정당한 대우를 받는다고 생각하고 있다.

'사용자가 근로자를 부당하게 대우한다'는 응답은 1989년 71.5%에서 올해 43.8%로 감소했다.

반대로 '정당하게 대우한다'는 대답은 1989년 27%에서 올해 2배인 54.8%로 높아졌다.

'기업에 대한 노조의 요구가 정당한가'라는 질문에 대해 1989년엔 68%가 '그렇다'고 답했으며 올해는 41.3%만이 고개를 끄덕였다.

반면 노조의 요구가 지나치다는 의견은 32.4%에서 57.1%로 두 배 가까이 높아졌다.

특히 노조의 임금 인상 요구에 대해서는 국민의 70.3%가 과도하다고 답했다.

노조의 국가 경제 및 정치·사회적 역할에 대한 국민들의 시각도 부정적으로 바뀌었다.

노조 활동이 강화됐을 때 경제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묻는 질문에 1989년 53.3%였던 긍정적인 의견은 올해 3분의 1 수준인 16%로 급감했다.

부정적 의견은 1989년 26.4%에서 올해 57.8%로 두 배 이상 늘어났다.

오 부연구위원은 "20년 전 노조 형성기 때는 노조가 근로 조건을 향상시켜 근로자들의 근로 의욕을 배가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최근엔 노조가 경제적 조합주의 위주로 활동하면서 국가 경쟁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이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