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는 BizⓝCEO 기획특별판 입니다 >

'미래는 준비하는 자의 것'이라는 격언이 있다.

너무나도 당연한 얘기지만 현실에 안주하다 보면 가끔씩 이를 잊게 되는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는 그간 국민과 기업들의 헌신적 노력을 바탕으로 반세기 만에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조선·반도체·자동차 등 주력 산업이 대부분 세계 5위권 이내의 경쟁력을 확보했으며,IMD에서 발표한 2007년 기술경쟁력 순위에서도 세계 6위를 차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이러한 성과에 안주하고 있을 여유가 우리에게는 없다.

수출기반형 주력산업이 성숙단계에 접어들면서 성장이 정체되고 있는 사이,중국이 우리의 주력분야를 잠식해 오고 있다.

또 IT·BT·NT 등 신기술의 발달과 기술 융합이 본격화되면서 독자적인 핵심·원천기술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면 생존 자체가 위협을 받을 수도 있는 상황이 되었다.

R&D는 회임 기간이 긴 특성을 갖고 있다.

지난 5월30일 준공식을 가진 포스코의 파이넥스(FINEX) 설비가 세상에 첫 선을 보이기까지는 1990년부터 10년간 진행된 선제적 R&D 투자를 필요로 했다.

이처럼 선진국을 앞서 나갈 수 있는 핵심·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불확실한 미래상황 변화를 정확하게 읽고,전략분야를 선정,과감하게 투자해 나가야 한다.

산업자원부는 15개의 전략기술 분야를 선정,이 부분의 핵심·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내년부터 '전략기술개발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15대 전략기술 분야는 반도체·자동차 등 주력산업과 바이오·차세대로봇 등 미래유망산업,나노·청정기반 등 기반기술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2015년까지 정부는 산업기술개발사업 예산의 50~60%를 '전략기술개발사업'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전략기술개발사업은 기존의 산업기술개발사업과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우선 기술개발 목표가 '응용기술개발'에서 '핵심·원천기술개발' 중심으로 전환되었다.

리스크가 커서 기업이 선뜻 투자하기 어려운 핵심·원천기술 분야에 적정한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가 보완적 역할을 적극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기존 사업들은 전략기술 중심으로 통폐합되었으며,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위원회를 중심으로 기술개발 전략을 수립해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또 기존의 칸막이형 지원체제에서 탈피,기술개발·기반조성·인력양성·표준·특허 등 패키지형 지원이 가능하도록 다양하고 유연한 지원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아울러 사전 연구기획 기간을 기존의 2개월에서 6개월로 연장하고,선행 특허·표준화 동향조사를 통해 전략적 연구기획을 추진할 계획이다.

'R&D관리전담팀'도 구성,과제의 사후관리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할 방침이다.

내년에 시작하는 전략기술개발사업의 성과는 적어도 5~10년 이상이 지난 후에야 그 결실을 볼 수 있을 것이다.

15대 전략기술개발사업에 산학연 관계자들의 많은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

< 산업자원부 산업기술정책관 김경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