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신정아 후원금 횡령 확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정아 전 동국대 교수가 기업후원금 일부를 횡령한 혐의와 변양균 전 청와대 행정실장이 정부예산을 동국대 이사장인 영배 스님이 세운 울산 흥덕사에 지원토록 한 혐의가 드러나면서 주춤했던 검찰 수사가 탄력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검찰은 신씨와 변 전 실장에 대해 이르면 이번 주말께 구속영장을 청구할 것으로 예상되며 늦어도 추석연휴를 전후해 두 사람이 동시에 사법처리될 공산이 커졌다.
서울서부지검은 20일 신씨를 소환해 조사를 벌였다.
이날 조사에서 신씨는 예일대 학위증서를 컴퓨터에서 스스로 조작해 만들어 낸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은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신씨의 은행계좌와 성곡미술관의 자금 흐름을 추적한 결과 신씨가 수억원을 빼돌린 사실을 발견하고 현재 횡령액을 파악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당초 횡령 혐의를 신씨의 구속영장에 적시하지 못한 이유는 2006년도 부분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이 기각됐다가 뒤늦게 다시 발부받는 바람에 (신씨의 횡령)총액을 집계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신씨의 개인 돈과 미술관 자금이 섞여있는 사실을 확인함에 따라 신씨가 성곡미술관 자금을 맡아 관리하면서 사금고처럼 이용했는지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또 신씨가 미술관 자금을 5억8000만원의 잔액이 있는 주식계좌로 빼돌렸는지 여부도 조사하고 있다.
학력 위조와 관련해 구본민 서울서부지검 차장검사는 "변 전 실장이 신씨의 허위학력을 안 시점이 언제인지 확인 중"이라면서도 "그러나 (변 전 실장은) 아직도 그것이 진짜라고 생각한다고 얘기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신씨의 자택에서 압수한 컴퓨터에서 예일대 박사학위 문서파일과 총장의 서명이 담긴 그림파일을 찾아냈으며 신씨가 대학 등에 제출한 학위의 졸업날짜가 각각 다른 점을 확인했다.
신씨가 학위 제출이 필요할 때마다 스스로 학위를 위조했으며 '학위 브로커에게 속았다'는 등의 진술은 모두 거짓말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상황이다.
검찰은 변 전 실장과 신씨의 관계를 바탕으로 불거진 혐의들을 입증하기 위해 신씨의 휴대전화 '대포폰'을 찾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신씨가 오피스텔에서 사용한 컴퓨터 이외에 따로 사용하던 것(노트북)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신씨는 귀국 당시 사용하던 휴대폰이나 컴퓨터를 다 없애고 온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검찰은 성곡미술관을 후원한 대우건설도 수색해 변 전 실장이 신씨를 위해 개입한 단서가 있는지도 조사했다.
검찰은 변 전 실장이 영배 스님이 회주로 있는 흥덕사에 정부 특별교부금 10억원을 지원하도록 외압을 행사했다는 혐의도 시인했다고 밝혔다.
변 전 실장과 신씨,영배 스님 간 '3각 커넥션'이 개인사찰에 대한 예산불법지원과 신씨의 동국대 교수 임용으로 이어졌다는 게 검찰의 분석이다.
검찰 관계자는 "사실관계는 본인이 대체로 인정했는데 구체적이고 자세한 부분에서는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조만간 영배 스님을 소환해 이 부분을 집중 캐물을 계획이다.
문혜정/정태웅 기자 selenmoon@hankyung.com
이에 따라 검찰은 신씨와 변 전 실장에 대해 이르면 이번 주말께 구속영장을 청구할 것으로 예상되며 늦어도 추석연휴를 전후해 두 사람이 동시에 사법처리될 공산이 커졌다.
서울서부지검은 20일 신씨를 소환해 조사를 벌였다.
이날 조사에서 신씨는 예일대 학위증서를 컴퓨터에서 스스로 조작해 만들어 낸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은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신씨의 은행계좌와 성곡미술관의 자금 흐름을 추적한 결과 신씨가 수억원을 빼돌린 사실을 발견하고 현재 횡령액을 파악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당초 횡령 혐의를 신씨의 구속영장에 적시하지 못한 이유는 2006년도 부분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이 기각됐다가 뒤늦게 다시 발부받는 바람에 (신씨의 횡령)총액을 집계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신씨의 개인 돈과 미술관 자금이 섞여있는 사실을 확인함에 따라 신씨가 성곡미술관 자금을 맡아 관리하면서 사금고처럼 이용했는지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또 신씨가 미술관 자금을 5억8000만원의 잔액이 있는 주식계좌로 빼돌렸는지 여부도 조사하고 있다.
학력 위조와 관련해 구본민 서울서부지검 차장검사는 "변 전 실장이 신씨의 허위학력을 안 시점이 언제인지 확인 중"이라면서도 "그러나 (변 전 실장은) 아직도 그것이 진짜라고 생각한다고 얘기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신씨의 자택에서 압수한 컴퓨터에서 예일대 박사학위 문서파일과 총장의 서명이 담긴 그림파일을 찾아냈으며 신씨가 대학 등에 제출한 학위의 졸업날짜가 각각 다른 점을 확인했다.
신씨가 학위 제출이 필요할 때마다 스스로 학위를 위조했으며 '학위 브로커에게 속았다'는 등의 진술은 모두 거짓말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상황이다.
검찰은 변 전 실장과 신씨의 관계를 바탕으로 불거진 혐의들을 입증하기 위해 신씨의 휴대전화 '대포폰'을 찾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신씨가 오피스텔에서 사용한 컴퓨터 이외에 따로 사용하던 것(노트북)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신씨는 귀국 당시 사용하던 휴대폰이나 컴퓨터를 다 없애고 온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검찰은 성곡미술관을 후원한 대우건설도 수색해 변 전 실장이 신씨를 위해 개입한 단서가 있는지도 조사했다.
검찰은 변 전 실장이 영배 스님이 회주로 있는 흥덕사에 정부 특별교부금 10억원을 지원하도록 외압을 행사했다는 혐의도 시인했다고 밝혔다.
변 전 실장과 신씨,영배 스님 간 '3각 커넥션'이 개인사찰에 대한 예산불법지원과 신씨의 동국대 교수 임용으로 이어졌다는 게 검찰의 분석이다.
검찰 관계자는 "사실관계는 본인이 대체로 인정했는데 구체적이고 자세한 부분에서는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조만간 영배 스님을 소환해 이 부분을 집중 캐물을 계획이다.
문혜정/정태웅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