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장의 FTSE선진지수 편입이 또다시 좌절됐지만 전일 국내 증시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는 미국 FOMC가 지난달 9일 이후 공개시장 조작을 통해 유동성 공급을 확대한데 이어 예상 밖의 큰 폭의 금리인하 단행으로 글로벌 증시가 어느정도 안정을 찾고 있기 때문.

하지만 아직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증시를 위기로 몰아넣었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아직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국내에서도 부동산 PF대출이 부실화돼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처럼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렇지만 신영증권은 국내 부동산 PF대출은 미국발 서브프라임 사태처럼 연쇄신용위기로 발전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김지희 신영증권 애널리스트는 21일 "미국의 경우처럼 신용파생을 이용한 2차 유동화의 형태로 재발행되는 경우는 한국에서 드물기 때문에 서브프라임 사태처럼 꼬리에 꼬리를 무는 식의 손실은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정부 역시 국내 PF관련 대출이 대부분 1차 유동화에 그치고 있고 규모도 감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신용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김 애널리스트는 "주요 분양대금 입금에 의해 원금상환이 이뤄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부동산 경기의 지속적인 침체시 관련 금융기관은 미분양 및 시공사 파산으로 인한 손실에 노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다행히 건교부가 이미 이러한 사태를 인지하고 지난 20일 내년까지 공공에서 5000가구, 민간에서 2만가구를 매입하는 것을 골자로 한 미분양 아파트 활용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PF관련 대출의 위기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지로 해석할 수 있다.

김 애널리스트는 "정부가 이미 PF관련 대출의 위험을 인지한 상태라면 실제 관련 위기 발생 가능성은 낮아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의 이번 계획이 침체된 지방 주택시장을 어느정도 활성화시킬지는 의문이지만 관련 위험을 인지하고 대책 발표를 했다는 사실만으로도 부동산 PF 부실화 가능성은 다소 낮다는 평가다.

한경닷컴 이유선 기자 yur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