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연령층의 남성 고용률이 낮아지는 대신 여성 고용률은 계속 높아지면서 같은 나이대의 남녀 고용률 격차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될 경우 1~2년 내에 여성 고용률이 남성 고용률을 앞지를 것으로 예상된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20대 여성 고용률은 2000년 54.9%에 그쳤으나 2002년 57.9%,2004년 59.2%,2006년 59.4%로 꾸준히 상승했고 올해 1분기 59.3%,2분기 59.7%로 계속 높아졌다.

반면 20대 남성 고용률은 2000년 66.0%로 높았으나 2002년 65.2%,2004년 63.2%,2006년 61.2%로 계속 낮아졌고 올 들어서는 1분기 60.5%,2분기 60.7%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20대 연령층의 남녀 고용률 격차는 2000년 11.1%포인트에서 2002년 7.3%포인트,2004년 4.0%포인트,2006년 1.8%포인트로 줄었고 올해 2분기에는 1.0%포인트로 축소됐다.

이런 추세는 20대 젊은 여성들이 결혼보다는 취업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데다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에서 양성평등 채용 원칙이 강화되면서 여성에 대한 문호가 넓어졌기 때문이다.

싱글족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줄어들고 젊은이들 사이에 맞벌이 선호 현상이 확산된 것도 젊은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진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로 남성의 경우 군 입대자나 공익근무요원 등은 인구에서 제외한 뒤 계산하고 있다.

취업자 수에서는 2002년 처음으로 20대 여성(225만7000명)이 20대 남성(222만9000명)을 앞질렀다.

올해 2분기 20대 여성 취업자 수는 210만3000명으로 남성(190만4000명)보다 훨씬 많다.

통계청 관계자는 "20대 남성은 군 복무를 해야 하기 때문에 여성에 비해 취업 준비에 걸리는 시간이 길고 사회에 나오는 시기도 늦다"며 "여성들이 취업에 적극적이라는 점까지 감안하면 취업자 수뿐만 아니라 고용률에서도 조만간 뒤집힐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 연령층 고용률은 2000년 남성 70.7%,여성 47.0%로 그 격차가 23.7%포인트였고 지난해에는 남성 71.3%,여성 48.8%로 그 격차(22.5%포인트)가 약간 줄어드는 데 그쳤다.

현승윤 기자 hyun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