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경지 대부분은 50년 넘게 방치된 개발 소외지지만 땅값은 이미 크게 오른 상태다.

미래 개발가치를 눈여겨 본 서울 등 외지 투자자들이 2000년 1차 남북 정상회담 이후 현지 주민들로부터 지속적으로 땅을 사들여 온 데 따른 것.접경지 지방자치단체들이 경쟁적으로 이런저런 개발 청사진을 내놓고 있는 것도 땅값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경기 연천군 관계자는 "쓸 만한 땅은 80% 이상이 서울 등 외지인에게 넘어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포천 양주 동두천 철원 등 다른 접경지도 사정이 비슷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전경 포천 복많은공인중개사 대표는 "연천 철원 등의 땅값이 2000년 이후 3∼4배는 뛴 것 같다"며 "외지인들은 '시간이 곧 돈'이라는 생각으로 장기 보유하기 때문에 새로운 매물을 찾기도 쉽지 않은 실정"이라고 전했다.

경기 북부를 관할하는 경기도2청에 따르면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제외한 평균 땅값은 공시지가 기준으로 3.3㎡(1평)당 파주시가 147만원,양주시 137만원,동두천시가 130만원으로 나타났다.

가평군과 연천군도 40만원에 육박한다.

실제 거래가격은 공시가의 2∼3배를 웃돈다.

개발 움직임이 덜하거나 접근성이 떨어지는 가평 연천 등의 땅값이 다른 지역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불과 몇 년 새 많게는 5∼6배,적게는 3∼4배씩 뛰었다.

또 이들 지역은 허가를 받아야만 매매가 가능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지 않은 곳이 많아 투자 수요가 꾸준하고 그만큼 가격 상승 여력이 크다고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강원 철원지역 땅값도 꾸준한 상승세다.

서울과 원산을 잇는 경원선의 남쪽 구간 복원 사업에 대한 기대감으로 외지인의 투자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공장용지로 쓸 만한 관리지역 땅은 2~3년 새 2배 이상 오르며 3.3㎡당 20만원 수준을 보이고 있다.

경원선이 지나가는 지역은 30만~40만원까지 호가가 치솟고 있다.

접경지 지자체들은 개발이 늦춰지면 늦춰질수록 비용 부담만 계속 커진다며 중앙 정부에 보다 전향적인 규제 해제 및 개발 재원 지원을 촉구하고 있다.

파주시 관계자는 "각종 개발 규제와 너무 오른 땅값이 지역 개발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라며 "비용 부담을 줄이려면 하루라도 빨리 개발 청사진을 만들어 실행에 옮겨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