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선거ㆍ당권거래 논란 재점화 ‥ 대통합민주신당 부산ㆍ경남 합동연설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통합민주신당의 6번째 합동연설회가 28일 부산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열렸다.
전날 광주에서 날선 공방을 주고받은 손학규 정동영 이해찬 후보는 이날 연설회에서도 상대방에 대한 공세의 고삐를 늦추지 않았다.
먼저 '동원선거 의혹'과 관련된 당 공정경선위의 발표 내용이 도마에 올랐다.
정 후보는 "중앙당의 발표로 정동영이 누명을 벗었다.
다른 후보들은 당의 결정에 토 달지 말고 따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경선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오히려 당 지지율이 떨어지는 것은 근거 없는 폭로로 (경선을) 진흙탕 싸움으로 만들고 있기 때문"이라며 조직선거 의혹을 제기한 다른 후보들을 공격했다.
이에 손 후보는 "이번 대선은 물 건너간 것으로 간주하고 당권과 공천이나 챙기자는 패배주의가 당내에 만연해 있다"면서 "그 표현이 조직·동원·차떼기선거"라며 정 후보 측을 겨냥했다.
이 후보도 "인구가 200만도 안 되는 지역에서 300만이 넘는 부산보다 3배 많은 선거인단이 접수되는 등 이번 경선은 룰 자체에 원천적으로 문제가 있었다"고 말했다.
곧이어 부산MBC로 자리를 옮겨 진행된 TV토론회에서는 '당권거래설'이 쟁점이 됐다.
정 후보는 "당권거래의 당사자로 지목된 김한길 의원이 근거 없는 이야기라고 해명했다"며 "밑도 끝도 없이 정동영을 지지하면 당권 밀약으로 치부하는 것은 올바른 태도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김 의원과 최근까지 행동을 함께 했던 의원이 '의원당 1만명씩 선거인단을 모아 당권과 교환하자는 논의를 듣고 나서 (정 후보 지지 선언에) 동참하지 않았다'는 말을 직접 하더라"며 "정당생활 20년 만에 이런 모습은 처음 본다"고 맞받아쳤다.
세 후보는 참여정부의 공과를 평가하는 과정에서도 충돌했다.
정 후보가 "서민들이 세금 늘었다고 아우성 치는데 해결하지 못했다"고 말하자 손 후보는 곧장 "참여정부에서 국무위원까지 지낸 분이 사돈 남말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꼬집었다.
이 후보도 "장관을 그렇게 오래 지낸 분이 그렇게 말해서는 안 된다"고 합세했다.
부산=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
전날 광주에서 날선 공방을 주고받은 손학규 정동영 이해찬 후보는 이날 연설회에서도 상대방에 대한 공세의 고삐를 늦추지 않았다.
먼저 '동원선거 의혹'과 관련된 당 공정경선위의 발표 내용이 도마에 올랐다.
정 후보는 "중앙당의 발표로 정동영이 누명을 벗었다.
다른 후보들은 당의 결정에 토 달지 말고 따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경선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오히려 당 지지율이 떨어지는 것은 근거 없는 폭로로 (경선을) 진흙탕 싸움으로 만들고 있기 때문"이라며 조직선거 의혹을 제기한 다른 후보들을 공격했다.
이에 손 후보는 "이번 대선은 물 건너간 것으로 간주하고 당권과 공천이나 챙기자는 패배주의가 당내에 만연해 있다"면서 "그 표현이 조직·동원·차떼기선거"라며 정 후보 측을 겨냥했다.
이 후보도 "인구가 200만도 안 되는 지역에서 300만이 넘는 부산보다 3배 많은 선거인단이 접수되는 등 이번 경선은 룰 자체에 원천적으로 문제가 있었다"고 말했다.
곧이어 부산MBC로 자리를 옮겨 진행된 TV토론회에서는 '당권거래설'이 쟁점이 됐다.
정 후보는 "당권거래의 당사자로 지목된 김한길 의원이 근거 없는 이야기라고 해명했다"며 "밑도 끝도 없이 정동영을 지지하면 당권 밀약으로 치부하는 것은 올바른 태도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김 의원과 최근까지 행동을 함께 했던 의원이 '의원당 1만명씩 선거인단을 모아 당권과 교환하자는 논의를 듣고 나서 (정 후보 지지 선언에) 동참하지 않았다'는 말을 직접 하더라"며 "정당생활 20년 만에 이런 모습은 처음 본다"고 맞받아쳤다.
세 후보는 참여정부의 공과를 평가하는 과정에서도 충돌했다.
정 후보가 "서민들이 세금 늘었다고 아우성 치는데 해결하지 못했다"고 말하자 손 후보는 곧장 "참여정부에서 국무위원까지 지낸 분이 사돈 남말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꼬집었다.
이 후보도 "장관을 그렇게 오래 지낸 분이 그렇게 말해서는 안 된다"고 합세했다.
부산=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