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ㆍ평양에 경협 연락사무소" ‥ 정부, 정상회담때 제안키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가 2차 남북 정상회담에서 서울과 평양에 상주하는 '남북 경제협력 연락사무소'를 설치해 운영하는 방안을 북측에 제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담의 핵심 의제 중 한 축이 '한반도 경제공동체 건설'인 만큼 징검다리로 경협 확대를 위한 연락체계부터 구축하려는 포석이다.
30일 정부 당국에 따르면 노무현 대통령은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정상회담 때 남북 경제공동체를 구축하자고 제안한 뒤 그 전 단계로 서울-평양 경협 연락사무소를 우선 설치하는 방안을 제의하기로 했다.
정부 당국자는 "현재 개성공단에 남북 경제협력협의사무소를 두고 있으나 이를 한층 격상시킨 연락사무소를 서울과 평양에 설치해 경제공동체 건설을 상시적으로 협의하고,체계적으로 준비하자는 의미"라고 밝혔다.
남북 경제협력협의 사무소는 2000년 1차 정상회담 뒤 남북간 경협사업 협의와 확대를 위해 2005년 10월 개성공단에 설치돼 남측과 북측 관계자 14명,10여명이 각각 근무하고 있다.
남북은 이와 별개로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도 비정기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남북 경제공동체 건설이 기존 경협의 범위를 훨씬 뛰어넘는 것이어서 서울과 평양에 상주 연락사무소를 개설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다.
이와 관련,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남북 경협 부문이 현재까지는 지원과 교류,단순한 협력 수준이었으나 경제공동체를 지향하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이고 장기적인 투자 개념으로 전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또 서울-평양 경협 연락사무소를 향후 정치·군사적인 남북 현안까지 포괄적으로 다루는 상주 대표부로 역할을 확대하는 방안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북핵 폐기 이후 북·미 간 관계 정상화가 급진전될 경우 북한과 미국이 서로 연락사무소를 평양과 워싱턴에 개설할 수 있어 이와 보조를 맞추자는 전략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한나라당도 지난 7월 서울-평양 경제대표부 설치를 비롯한 '한반도 평화비전'을 발표한 바 있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
이번 회담의 핵심 의제 중 한 축이 '한반도 경제공동체 건설'인 만큼 징검다리로 경협 확대를 위한 연락체계부터 구축하려는 포석이다.
30일 정부 당국에 따르면 노무현 대통령은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정상회담 때 남북 경제공동체를 구축하자고 제안한 뒤 그 전 단계로 서울-평양 경협 연락사무소를 우선 설치하는 방안을 제의하기로 했다.
정부 당국자는 "현재 개성공단에 남북 경제협력협의사무소를 두고 있으나 이를 한층 격상시킨 연락사무소를 서울과 평양에 설치해 경제공동체 건설을 상시적으로 협의하고,체계적으로 준비하자는 의미"라고 밝혔다.
남북 경제협력협의 사무소는 2000년 1차 정상회담 뒤 남북간 경협사업 협의와 확대를 위해 2005년 10월 개성공단에 설치돼 남측과 북측 관계자 14명,10여명이 각각 근무하고 있다.
남북은 이와 별개로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도 비정기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남북 경제공동체 건설이 기존 경협의 범위를 훨씬 뛰어넘는 것이어서 서울과 평양에 상주 연락사무소를 개설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다.
이와 관련,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남북 경협 부문이 현재까지는 지원과 교류,단순한 협력 수준이었으나 경제공동체를 지향하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이고 장기적인 투자 개념으로 전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또 서울-평양 경협 연락사무소를 향후 정치·군사적인 남북 현안까지 포괄적으로 다루는 상주 대표부로 역할을 확대하는 방안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북핵 폐기 이후 북·미 간 관계 정상화가 급진전될 경우 북한과 미국이 서로 연락사무소를 평양과 워싱턴에 개설할 수 있어 이와 보조를 맞추자는 전략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한나라당도 지난 7월 서울-평양 경제대표부 설치를 비롯한 '한반도 평화비전'을 발표한 바 있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